영화 ‘오빠생각’에서 보는 심리 ‘어른들의 행동이 내 것이 아니다’
영화 ‘오빠생각’에서 보는 심리 ‘어른들의 행동이 내 것이 아니다’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기까지의 비극적이고, 참혹했던 현실에서 가족과 형제, 친구를 잃으면서도 어린이 합창단이란 테마로 전쟁영화 속에서 감동을 줌으로써 작은 노래의 위대한 기적을 선사했다.
전쟁터에서 가족과 동료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한상렬! 전쟁 중에 조상사를 구해주었던 은인으로, 조상사는 헌병으로 안전한 군인생활의 보직을 받고 있었다.
조상사의 추천으로 보육원으로 배치되면서 ‘한상렬’! 그의 맘 속에 남아있는 순수한 마음과 노래를 통해 전쟁의 상처를 치유해간다. 아이들의 변화된 모습과 두려움을 품으면서 자신은 내면과 씨름을 하게된다.
합창단을 구성하면서 만나게 된 동구와 여동생. 여동생이 빨갱이 인민군가를 부르면서 마을사람들에게 매를 맞아 죽게되자, 여동생은 노래에 대한 트라우마로 더 이상 노래를 부르지 않게 된다.
합창단안에서 동구의 친구를 만나지만, 그들의 서로 앙숙이었다. 동구의 친구는 동구의 아버지로 인하여 가족들이 다 죽었기 때문에 동구네 가족들에게 대한 원망과 분노가 컸다. 합창단 연습을 하면서도 둘 관계로 하모니가 형성이 되지 않는다. 그 때 한상렬은 " 너희들은 같은 고향에서 살았고 친구였다.
빨갱이는 어른들이 만든거지 너희들이 만든게 아니잖니? 싸울 거면 지금 여기서 싸워....." 싸움이 없자" 둘이 아목동들아, 대니보이 노래를 부르고 틀린사람이 진 것이다" 이렇게 말을 한 후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둘의 하모니는 듣는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서로가 느끼는 마음은 같았다. 전쟁에서 일어난 피해는 자신들의 몫이 아니었다란 것을 깨닫게 된다. 한상렬의 사랑과 순수한 마음이 아이들을 감동으로 이끌어냈고, 갈고리라는 사람 또한 새롭게 사람으로 변화시켰다.
전쟁중이던 철원으로 합창단 공연을 하러 가던 중 총에 맞은 동구오빠의 죽음으로 여동생은 다시 오빠의 소원이었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오빠생각’노래를 들으면서 별이 되어 간 동구! 동구의 말 속에 ‘고맙다’란 말과 ‘잘못 살아서 벌 받았나봐요’ 란 말로 눈물을 젖시게 했다.
현실의 상황은 언제나 동일하지 않다. 사회적인 변화, 자신의 건강상태, 경제적인 흐름, 가족의 감정변화등 자신을 흔들리게 하는 요인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어느것도 자신을 퇴보하게 만드는 요인은 없다.
결국, 자신이 어떤 모습이 되어있던지 그것은 부모때문도, 환경때문도, 건강때문도 아닌 자신의 정신건강에 달려있다.
무엇을 선택하든, 어떤 길에서 잠시 멈춰있든 그 모든 것은 긍정의 에너지, 감사의 마음으로 다시 자신을 성장시킬 것이다. 자신의 트라우마 해결은 결국 자신이 용서함으로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