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CF 사무국 유치 확정···'연이은 겹경사'

"국제사회 위상 제고 및 경제적 효과 연간 3800억원"

2012-10-20     뉴스1

우리나라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소 유치에 성공했다. 대형 국제기구를 국내에 두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분야의 세계은행으로 불리는 GCF를 국내에 유치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도 한 단계 올라 갈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상임이사국 선출에 이어 GCF 유치까지 낭보가 잇따라 전해져 겹경사를 맞게 됐다.

◇대형 국제기구 사무소 최초 유치

GCF 이사회는 20일 인천 송도컨베시아에서 열린 제2차 이사회 결과 인천 송도를 GCF 사무국이 위치할 소재지로 확정했다.

이번 결정은 내달 말 카타르에서 열리는 제18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18)에서 인준된다.

한국은 이번 유치과정에서 독일과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지난 4월 한국, 독일, 스위스, 멕시코, 폴란드, 나미비아 등 6개국이 유치 신청을 했고 이달 8일 한국을 포함한 독일, 스위스 등 3개국은 모든 항목을 '충족(Green Light)'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초 GCF 임시사무국이 있는 독일 본이 유럽을 중심으로 이사국으로부터 지지를 받았지만 인천 송도가 뒷심을 발휘하면서 이사국 유치를 거머졌다.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등을 지원하는 국제금융기구인 GCF를 국내에 유치함에 따라 향후 세계 환경분야에서 한국의 영향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GCF 기금 규모는 2020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씩 총 8000억달러(약 880조원)를 조성하자는 의견과 매년 금액을 늘려 2020년부터 연간 1000억달러씩 걷자는 의견이 맞서 있다.

내달 카타르에서 열리는 COP18에서 기금 규모가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기금 규모만 보면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에 버금간다.

그만큼 인천 송도는 국제금융도시로 성장할 기회를 얻는 등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효과 연간 3800억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연간 3800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더욱이 GCF 유치는 침체돼 있는 인천 지역경제를 살리는데도 큰 힘이 될 전망이다.

인천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출범초기 100여명의 사무국 직원은 2020년께 500명 수준으로 늘어나고 유치의 경제적 효과도 1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국제회의 경비지출 1242억원, 사무국 임직원 소비 325억원 등 GCF 사무국은 '유령도시'로 불린 인천 송도에 숨통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GCF 유치는 경제적 효과 외에도 한국이 녹색성장의 메카로 떠오를 기회다.

지난 국제기구로 발돋움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 함께 시너지 효과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경제·비경제 효과로 GCF 유치는 이명박 정권의 마지막 업적으로 분석된다.

실제 이 대통령을 포함한 각종 정부 고위인사들은 GCF 유치에 온 힘을 쏟았다.

박재완 재정부 장관은 최근 일본에서 열린 IMF·WB 연차총회에서 일본, 바베이도스, 덴마크, 베닌, 프랑스 등 주요국 정부 관계자를 만나 한국의 GCF 유치를 요청했다.

또 민간유치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무역협회장도 미국을 방문하고 중국, 덴마크 등 주요 인사들을 면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