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한·중 FTA 취약분야에 대해 철저한 대응방안 강구"
한·중 FTA 대응 토론회가 2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안희정 지사를 비롯, FTA 관련 전문가, 기업인 및 농어업인 대표, 경제 관련 단체장, 정책자문위원, 정책특보, 도·시군 공무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한‧중 FTA의 득과 실, 우리의 할 일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한 이번 토론회는 한·중 FTA 체결 후 농업과 제조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영향을 살펴보고, 취약분야 피해 최소화와 경쟁력 있는 분야 이익 극대화 등 지방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는 일반경제, 농업, 수산업 등 3개 분야로 나눠 전문가 주제발표에 이은 토론, 의견교환 등으로 진행됐다.
정환우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중 FTA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우리나라 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4.6%에 달하며, 충남의 대중국 수출은 무려 40.5%를 차지하고 있다”며 “투자확대와 고부가가치 생산 등 효과적인 FTA 활용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전형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중 농산물 무역구조와 FTA 협상 대응방향’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축산물 피해가 큰 한·EU FTA나 육류·과일류 피해가 큰 한·미 FTA와 달리 한·중 FTA는 농업 부문 전반에 걸쳐 피해가 예상된다”며 “협상 과정에서 농업분야 민감성 보호와 채소류 및 특작류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이 자리에서 “한·중 FTA 체결은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우리와 생산구조가 유사한 농어업의 경우는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FTA 체결로 인한 득과 실을 면밀히 분석하고, 취약분야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대비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FTA에 따른 농림어업 보호를 위해 2014년까지 128개 사업에 5541억원을 투자하는 품목별 보완 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며, 중소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해외마케팅과 교육 및 컨설팅을 확대 실시하고, 영세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운영자금 지원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