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학교 비정규직 파업 10% 참여...급식 대란 피해
9일 하루 대전·충남지역 학교 비정규직이 총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대전지역에서는 전체의 10%쯤이 파업에 참여해 학교 현장의 피해는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파업에 참여한 비정규직 대부분이 학교급식 관련 조리원이어서 급식 차질이 우려됐지만, 전체 조리원의 28%만 동참했고 이미 급식 중단 사태가 알려진 상태여서 학교 현장의 혼란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비정규직노조 파업에 동참한 학교회계직원은 477명으로 전체 4451명의 10.7%에 해당했다. 직종별 참가인원은 조리원 410명, 사무직종 27명, 특수교육 실무원 24명, 영양사 16명 등이다.
학교급식에 직접 관여하는 조리원은 파업 참가자의 8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전체 조리원의 28%만 동참하면서 우려했던 학교급식 대란은 피했다.
학교별로는 초등학교 38개교, 중학교 26개교, 고등학교 10개교, 특수학교 1개교 등 총 75개교에서 파업에 참여해 대전지역 전체 302개교의 24%에서 급식 등 업무차질이 빚어졌다.
급식이 중단된 곳은 파업참여 75개교의 84%인 63개교로 파악됐다. 전체 302개교의 20%에 해당한다.
이들 학교는 도시락 지참(40개교), 빵·우유 대체(11개교), 단축수업(12개교) 등을 통해 급식 차질에 대응한 상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급식 차질이 예상되는 학교에는 사전에 가정통신문을 보내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했기 때문에 큰 혼란은 피할 수 있었다”며 “저소득층 중식지원 대상학생은 약간의 혼선이 있었으나 사전준비 등을 통해 급식중단은 막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노조 파업은 호봉제 도입과 정규직 전환 등 처우개선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학생 급식을 볼모로 한다는 학부모의 거센 반발이 있었다”며 “시교육청은 부교육감이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장과 대화하는 등 파업을 조기 수습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앞으로도 학교직원의 고용안정과 처우개선을 위해 힘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