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할아버지의 나라, ‘한국’을 배우고 싶어요”

대전 한남대 입학하는 쿠바 이민 한인 4세 아자리아 임(林) 씨

2013-02-27     황대혁 기자

[세종TV=황대혁기자] 제94주년 3.1절을 앞두고 독립 운동가였던 할아버지 조국을 찾아 지구 반대편으로부터 날아온 한인 4세가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오는 3월 4일 대전 한남대(총장 김형태) 린튼글로벌칼리지(LCG)에 입학하는 쿠바의 아자리아 임(Azaria Lim·20세) 씨.
   
“할아버지가 그토록 그리워하던 대한민국 땅을 밟고 있다는 사실이 꿈만 같아요. 앞으로 4년간 한국의 경제, 문화, 과학 등 놀라운 발전상을 하나도 빠짐없이 배우고 싶어요.” 
   
독립운동가의 피가 흐르는 후예답게 아자리아 씨의 야무진 눈망울은 남다르다.
   
그녀의 증조부는 일제 강점기 때 쿠바 이주 1세대로 이역만리 타국에서 독립운동단체인 대한인국민회 쿠바 지방회를 설립해 민족혼을 일깨우고 김구 선생을 도와 항일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 故 임천택(林千擇 `1903~1988) 선생이다. 
   
우리 정부는 쿠바에서 생을 마감한 그의 애국정신을 높이 기려 지난 1997년 사회주의 국적(적성국)으로는 최초로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그의 유해를 대전 현충원에 안장했다. 
   
임천택 선생의 독립운동은 백범 김구선생 일지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의 애국충정은 국내 언론에도 여러 차례 조명된바 있다. 
   
아자리아 씨가 한국에 유학을 오기까지는 한남대 정명기 교수(중국통상학과)와의 만남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지난 2011년 쿠바를 방문한 정 교수가 당시 현지 교포인 제자로부터 애국지사 임천택 선생 가문 후손에 관한 얘기를 듣고 아자리아 씨의 유학을 돕게 된 것. 
 
1년여의 준비 끝에 2013학년도 수시모집 외국인 전형으로 한남대에 합격한 아자리아 씨가 한국 땅을 밟게 되기까지는 수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사회주의 국가인 쿠바에서 대한민국에 유학을 온다는 자체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수개월에 걸친 서류증명과 까다로운 심사 끝에 다행히도 양국 정부가 증조부의 여러 공적을 인정해 한국 유학을 허가했고 아자리아 씨는 쿠바 한인협회의 도움으로 기본적인 한글을 익힐 수 있었다.
   
졸업 후 한국기업에서 일하는 것이 꿈이라는 아자리아 씨는 “요즘 쿠바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가수 ‘싸이’ 열풍이 대단한데, 한국문화가 세계적인 트렌드로 앞서 간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낀다.”라며, “열심히 공부해서 쿠바에 돌아가면 한국문화 전도사가 되고 싶다.”라고 당당한 포부를 밝혔다. 
   
한편, 오는 3월 4일 입학을 앞두고 지난 26일 입국한 아자리아 씨는 한남대 영어전용 특성화 단과대학인 린튼글로벌칼리지(Linton Global College)에서 글로벌커뮤니케이션(Global Communication) 분야를 전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