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천상륙작전’,이상을 버리면 늙는거다
영화‘인천상륙작전’에서 총 지휘관은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이었지만, 대북 첩보 작전의 성공을 위해서 희생된 대원들의 노고와 희생을 길이자는 데 의의가 있었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부대를 지원했던 이유를 이야기 하는 장면이 나온다.
“저희 집안이 독립군 집안이라 국가를 위해 죽을 각오를...”
“새끼가 많아 쌀을 많이 준다길래...”
“어머니를 보호해드리고 싶어서...”
“그동안 나쁜 행동을 많이 했는데, 남아 있는 삶이라도 좋은 일을 하고 싶어서...”
등 서로가 지원하는 동기는 달랐다. 서로 다른 이유였지만, 하나의 뜻으로 뭉치게 된다. 인천상륙작전을 진행함에 있어 대원들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단 한명만 살더라도 목표는 달성해야한다.’라고 장학수대위는 말한다. 강한 의지와 책임이 삶의 가치관을 형성한다. 뚜렷한 목표는 확실한 동기부여가 된다. 그것이 바로 이상을 실천하게 되는 것이다. 서로의 입장차이는 분명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장대위는 자신의 삶, 가족을 지키는 삶보다 대인의 뜻을 실천했다.
맥아더 장군의 ‘이상을 버리면 늙는거다’ 라고 말하는 장면이 아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왔다고 한다. 필자 또한 참 의미 있었다. 역사적 사실을 현재에서 ‘옳다, 그르다’ 또는 ‘보여지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뒤에 숨겨진 진실이 더 많다.’, ‘역사의 왜곡이다’ 등으로 판단 평가하기 보다는 영화 속에서의 장면마다의 의미를 가져본다. ‘이상(理想)’도 자신의 가치판단과 본질을 어느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지금 여기서 우리의 몫은 어디에 있는가? 그 어떤 것도 ‘이상(理想)’은 자신의 삶에 중요한 요소이다. 꿈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과 절망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 중 어떤 길을 선택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이상(理想)도 동기부여가 주어져야 한다. 단, 동기부여는 다른 사람에 의해서 손에 쥐어지는 것이 아니다. 의미부여를 갖지 않으면 어떤 동기도 그 사람에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의미요법 (Logotherapy)은 일상 생활 속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로 움직인다.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그것이 아주 소소한 것이라도, 그 곳에는 의미가 존재한다. 의미가 있으면, 동기가 부여되고, 동기가 부여되면 이상을 실천하게 된다.
특히, 자라나는 아이들, 학생들에게 ‘이상을 갖게 하는 것’은 밝은 미래를 이끄는 초석이 된다. 그 옆에서 영향력을 주는 사람은 바로 당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