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알뜰쇼핑 욕구가 금산인삼축제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제36회 금산인삼축제가 96만5000여명의 방문객을 동원하며 막을 내렸다.
산업형문화관광축제라는 이름에 걸맞게 663억 원에 달하는 인삼약초 매출도 기록했다.
전국 유명축제와 겹쳐진 일정, 추석명절 뒤의 개최시기, 가을철 불안정한 기상여건 등 등 방문객이 저조할 것이라는 당초의 예상을 깨고 금산인삼축제는 올해에도 성공가도를 달렸다.
금산인삼축제의 성공비결은 전략적 기획과 체험 컨텐츠의 다양화, 효율적인 운영에서 비롯했다는 평가다.
신선함을 더해주는 건강체험 이벤트 발굴, 편리성이 더해진 축제장 시설 및 구성, 축제 전문인력의 활용 등 축제의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타겟층의 다변화 모색을 위한 시설 운영 및 체험프로그램 강화는 100만에 가까운 인파를 운집하게 하는 원동력를 제공했다.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힐링놀이터 및 가족문화 체험존, 여성전용 불로미인관, 중·장년층을 위한 건강체험관 및 한류문화체험관, 알뜰쇼핑의 명소 국제인삼교역관 그리고 세대를 아우른 주무대 공연 등은 축제를 이끄는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번 축제에서 주목할 점은 젊은 층의 참여가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기존 중장년층이 꾸준히 유지되면서 30~40대 젊은 층이 늘어나는 추세가 뚜렷해졌다.
그동안 줄곧 참여형 프로그램 발굴과 정착에 주력해왔고, 최근 건강트렌드 기류를 축제에 투영시킨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삼약초관련 매출 663억원은 지역경제 활성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축제를 즐기면서 금산인삼약초 공동브랜 ‘금홍’ 등 안전성이 확보된 금산인삼약초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은 산업형 축제의 강점이자, 축제 성공의 원동력으로 꼽힌다.
금산자치종합대학 축제대학에서는 인삼관련 업계 종사자, 주민, 공무원 등 매년 30~40여명의 축제전문가가 배출된다. 이들은 체계적으로 축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고 축제성공을 견인하는 주인공으로 참여한다.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축제 전문인 육성프로그램은 인삼축제의 또다른 경쟁력이다.
군 관계자는 “올해 금산인삼축제가 역대 최고의 성과를 이루게 된 것은 35년간의 노하우와 더불어 군민들의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인삼약초 건강컨텐츠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글로벌 축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TV-김광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