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 SRF 열병합발전소 건설 백지화
-안희정 충남지사“내포신도시 폐기물 연료 발전소 포기”
【세종TV-고광섭 기자】충남 홍성·예산 일대 내포신도시 내에 건립 예정이던 고형폐기물 연료(SRF) 열병합발전소 건설이 없던 일로 됐다.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지자 충남도가 SRF를 포기하기로 한것이다. 하지만 기존 사업자의 반발과 건설 중단에 따른 매몰비용 문제 등이 남아 논란이 예상된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26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과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할 때 SRF를 고집하기 어렵다”며 “연료를 대체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쓰레기를 태워 연료로 사용하는 SRF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소는 2012년 말 내포신도시 조성 당시 집단에너지 공급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한국남부발전, 롯데건설, 삼호개발 등이 설립한 내포그린에너지는 2023년까지 예산 삽교읍 목리에 SRF를 사용하는 시설 1기와 LNG를 사용하는 시설 5기를 건립하기로 하고 작년 말 공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난관에 부닥쳤다. 주민들이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우려하며 반대하는 데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과 인가 지연으로 지난달부터 공사가 중단됐다.
안희정 지사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SRF 발전소에 대해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높게 줘 왔다”며 “하지만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으로 SRF에 대한 정책이 바뀌었고, 대체 연료를 고민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대신 두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LNG로 연료를 대체하는 방법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안 지사는 “수소연료전지 기반 신규 사업자가 등장해 산업통상자원부, 기존 사업자와 3자 간 협상 과정에 있다”며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높이겠다고 선언한 이상 수소에너지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지사가 임기 내에 SRF를 대체할 연료를 찾겠다며 사태 해결을 위한 강한 의지를 밝혔으나 사업자의 반발로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내포그린에너지는 산자부의 인가 지연으로 전체 1200억원 규모의 자본금 중 40%에 이르는 467억원이 빠져나갔다며 지난 10월 행정 부작위에 대한 행정심판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