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금산월장이 전통시장 옛 명성 되살리고 있다
매월 셋째주 금요일, ‘약초길따라 뿜뿜’ 페스티벌 등 시장 활력 주도
금산월장(月場)이 전통시장 활력의 구심점으로 다가서고 있다.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일환으로 개최되는 금산월장은 금산시장 주차광장에서 매월 넷째 주 금요일 판이 벌어진다.
지역을 대표하는 과일, 채소 등 농․특산물을 비롯해 발효액, 반찬, 주전부리 등 다양한 먹거리 장터가 문을 열고, 공연, 노래자랑, 이벤트 등이 발길을 잡는다.
한 때 무주, 진안, 장수를 아우르며 상당한 규모를 자랑했던 금산전통시장.
인구감소와 상권이동, 생활환경의 변화 등의 요인으로 사람들의 기억과 시선에서 조금 멀어졌지만, 최근 청년들이 운영하는 빵집, 찻집, 공방 등이 속속 문을 열고, 매월 만나는 월장이 힘을 보태면서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세월을 머금었던 건물과 점포는 말끔한 모습으로 생기를 되찾았고, 월장 덕분에 시끌벅적 옛 장터 풍경으로 시간이 되돌려진다.
월장이 가져다주는 효과는 매우 긍정적이다. 주민참여 자율형식으로 운영되다보니 참여자와 소비자 모두 만족감이 클 수밖에 없다.
직접 텃밭에서 재배한 채소와 과일, 오랜 시간이 필요한 발효식품, 독특한 맛과 멋을 자랑하는 나만의 퓨전요리, 할머니의 투박한 손이 더 정겨운 부침개, 어머니의 손맛이 생각나는 향토먹거리 등 시골장의 정겨움이 피어난다.
금산의 후덕한 인심을 덤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도 금산월장만의 특권이자 잔재미다.
여기에 관광객과 주민이 주인공으로 직접 무대에 오르는 노래자랑, 상상만 해도 웃음 짓게 되는 경품이벤트까지 더해지면 즐거움은 하늘에 닿는다.
지난 4월에는 장소를 바꿔 약령시장 거리로 나섰다.
‘2019 약초축제 준비를 위한 도약 한마당’ 이라는 주제로 악령시장의 약초 판매 및 체험 기타 이벤트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야시장, 마을장, 타임 이벤트, 무대공연, 체험부스, 보물찾기 등 가성비 높은 프로그램으로 구성, 완성도를 높였다.
지역주민과 예비청년 상인들이 직접 참여하는 먹거리와 비먹거리 프리마켓으로 운영된 야시장은 특성상 밤이 제격이겠지만 낮부터 불을 밝혔다.
반응은 뜨거웠다. 인삼약초시장을 찾는 쇼핑형 관광객들이 대거 몰리면서 주최 측의 우려와 걱정을 녹여냈다.
지역 동아리들의 공연과 7080 가요, 트로트, 주민노래자랑은 군민들 뿐 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인삼약초시장 내방객들에게 격 없는 친화력을 발휘했다.
향첩 만들기와 약초음료 시식, 비눗방울, 이 혈 등 금산인삼약초시장에서만 접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 역시 금산시장을 이름값을 더해주며 추억을 선사했다.
이혈 체험 봉사자로 활동한 김민수씨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12시부터 정신없이 바빴고 여러분들이 오신 것 같다. 주민은 물론 외지에서 연인, 가족단위로 오시고 약초를 사러 오신 분들, 수삼을 사러 오신 분들의 표정이 아주 밝았다.”고 말했다.
월장 서포터즈 서문종선씨는 “주민참여형 월장이라는 취지에 걸맞게 더욱 많은 금산군민들이 참여하고 더 나아가 전국과 해외의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또 함께 더불어 행복한 금산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동취재/김광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