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민관협치는 현재 진화 중
- 2018년 이후로 민관협치를 위한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 올해 제1기 활동을 마무리 짓고 제2기 활동 준비 중
제1기 활동은 협치의 기초를 닦는 과정이었다. 제1기에서 있었던 성과를 바탕으로 제2기 강서구 협치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를 바란다. (정◯◯ 협치위원)
2020 강서구 협치회의 랜선 워크숍 중
서울 강서구(구청장 노현송)는 제2기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방향 논의를 위해 지난 22일 ‘2020 강서구 협치회의 랜선 워크숍’을 개최했다.
강서구 민관협치는 2018년 3개년 계획으로 제1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현재 제2기를 준비하는 시기를 맞았다.
이번 워크숍은 제1기 강서구 지역사회혁신계획의 협치 성과를 공유하고 제2기 강서형 협치 모델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
제1기는 교육문화, 복지여성, 마을건강 등 분과를 나눠 각 분야에 관심 과 역량이 있는 위원을 위촉해 지역사회에 민관협치로 해결해야 할 의제를 발굴하는 공론장을 운영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했다.
지난해 개관한 ‘청소년을 위한 펀펀(funfun)한 놀이터’는 민관이 공통적으로 의견을 모아 청소년들이 편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민관 협치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이처럼 분과별로 의제를 발굴하게 되면 양질의 의제 발굴이 가능하지만, 분과별 칸막이로 인해 분과와 분과 사이의 의제 연결과 융합이 쉽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제1기의 부족했던 점을 인식하고 융‧복합 의제 발굴에 나아가고자 제2기의 추진체계를 획기적으로 재편하는 데 뜻을 모았다.
추진 체계를 분야별 분과에서 협치기반강화, 협치역량강화, 협치의제발굴 등 기능별 분과로 개편하고 각 분과는 기능에 맞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분야별 경계를 허물어 강서구 전반에 걸친 문제들을 심도 있게 고민하고 다각도로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제1기는 민관 협치의 시작 단계로 활발한 참여를 위해 대면 방식으로 추진해왔지만 제2기는 비대면 시대에 맞춰 효율적인 회의를 위해 비대면 방식을 강화하고 대면방식과 병행할 예정이다.
노현송 구청장은 “올 한해 화상회의, 생방송 협치테이블, 랜선 워크숍 등을 통해 민관협치를 중단없이 추진하고자 하였다”라며 “내년에는 융‧복합, 실직적 문제해결을 키워드로 한 제2기 강서형 협치 모델을 협치 위원들과 함께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강서구청 협치분권과(☎02-2600-6705)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