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과기부,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16일 개막
미래를 여는 과학과 문화의 만남, 세계과학문화포럼도 개최
과학의 도시 대전시가 과학을 주제로 하는 축제를 준비했다.
대전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과학문화축제인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를 16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일원에서 개최한다.
올해 축제는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대전시), ▲대한민국 과학축제(과기부)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과기부)을 통합한 행사로, 전국 518개 기관이 참여해 849개의 풍성한 과학 콘텐츠를 선보이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과학축제로 치러진다.
개막식은 16일 오후 7시 엑스포시민광장에서 ‘과학기술의 엔진, 호기심을 깨우다’를 주제로 영화 ‘인사이드 아웃’방식의 스토리텔링 공연이 펼쳐지며, 이세돌 UNIST 특임교수의 주제 강연과 가수 권진아의 축하 무대가 펼쳐질 예정이다.
올해는‘호기심’을 중심 주제로 설정하고, 행사장을 특성에 따라 ▲호기심 테마파크 ▲호기심 발전소(대한민국 과학축제/ 엑스포시민광장, 한밭수목원 원형광장), ▲호기심 연구소(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DCC제2전시장) 등 3개 공간으로 구분해 각기 다른 과학 체험 경험을 제공한다.
호기심 테마파크는 엑스포과학공원, 한밭수목원, DCC 제1전시장, 갑천변 등에 마련되며,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18일~19일 대전컨벤션센터 제1전시장에서‘Hi, Ai’를 주제로 개최되는 세계과학문화포럼과 18일~20일 한밭수목원 서원 잔디광장에서 열리는 야외문학관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 그리고 갑천변에서 진행되는 드론 레이싱 및 야간 열기구 체험 등이 있다.
한빛탑 일원에는 물빛광장을 인조 잔디로 꾸며 가족 단위 방문객이 쉴 수 있는 피크닉존을 운영하며, 대전 대표 맛집 10곳과 15대의 지역 푸드트럭이 참여하는 ‘D-FOOD 유니버스’도 함께 운영된다. 전국에서 방문한 관람객들에게 대전 고유의 맛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호기심 발전소는 엑스포시민광장과 한밭수목원 원형광장 일원에 마련된다. 이곳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기업, 단체 등이 운영하는 다양한 과학 체험 부스가 설치되며, 마술과 샌드아트 공연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이 즐길 수 있는 무대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특히 광장 내에는 에어돔 형태의 호기심 방송국(오픈스튜디오)을 설치해 과학 유튜버 및 인플루언서들이 참여하는 소통형 과학 콘텐츠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된다.
호기심 연구소에서는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핵심 R&D 성과, CES 출품작,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의 우수 연구성과 등이 전시되며, 최첨단 기술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전컨벤션센터 1층에는 대전의 6대 전략산업 및 첨단산업 관련 기업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산업 전시관을 운영해 과학문화 확산뿐 아니라 지역 산업과 연계한 기술 홍보 및 산업체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미래를 여는 과학과 문화의 만남, 세계과학문화포럼
대전시는 대한민국 과학축제 기간 미래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글로벌 과학 이슈를 공론화하기 위해 제10회 세계과학문화포럼을 18일부터 19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올해 포럼의 주제는‘Ai와 인간중심성: Hi, Ai’로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과 문화에 어떻게 녹아들고 있는지를 국내외 석학은 물론 대중 인지도가 높은 연사 10인이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한다.
18일 오전에는 박종화 서울대학교 교수가 AI 피아노와의 앙상블을 선보이고 이어서 존 헤이븐스 IEEE Global AI Initiative 창립 사무총장과 보 스티에르네 톰센 LEGO Education 부사장이 기조 강연자로 나선다.
오후 세션에는 남주한 카이스트 부교수, 권태균 박사, 구현모 전 KT 대표이사, 그리고 세계적인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교수가 연사로 참여한다.
19일 오전에는 ‘이그노벨상’ 수상 경력이 있는 박승민 싱가포르 난양공대 조교수와 김재경 카이스트 부교수가, 오후에는 권한슬 영화감독, 역사스토리텔러 썬킴, 과학커뮤니케이터 궤도가 인공지능을 주제로 과학과 문화를 아우르는 흥미롭고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들을 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