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열차 운행과 시설물 점검 동시에…AI로 ‘꼼꼼’

자동검측 영업열차 확대…유지보수 정확성‧효율성‧안전성 향상

2025-08-17     최정현 기자
ITX-새마을에

 

【SJB세종TV=최정현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열차에 자동검측 시스템을 확대 설치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기반 유지보수 체계를 고도화한다고 17일 밝혔다.

승객을 태운 열차에 설치된 자동검측 시스템은 운행 중 자동으로 전차선‧궤도‧선로‧신호‧통신 등 모두 5개 분야 17개 항목의 안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현재 상태에 맞춰 수리‧정비하는 ‘상태기반 유지보수(CBM)’에 활용된다.

우선, 코레일은 자동검측 시스템 탑재 열차를 늘린다. 자동검측 열차 운행을 확대하면 지금보다 실시간 검측 범위가 확장되고, 누적된 데이터로 AI 자동분석의 정확성이 높아져 더욱 촘촘한 시설물 안전관리가 가능해진다.

열차 운행이 없는 시간대에 인력점검 위주였던 기존 방식과 달리 자동검측 열차는 운행하면서 전 구간의 철도시설물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직원 안전까지도 챙길 수 있다.

현재 ITX-새마을, KTX 등 4대에서 수도권전철 전동열차 3대에 검측 설비를 추가 설치해 모두 7대로 확대한다. 오는 2030년까지 분당선 전동열차와 강릉선, 중앙선 KTX-이음 등에 추가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또, 전차선과 집전장치 접촉력 측정 등 검측 항목을 늘려 데이터 수집 범위를 넓히고, AI로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분야별로 관리되는 검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AI로 종합 분석해 CBM 체계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고장 발생을 예측하고 최적의 유지보수 일정을 수립하는 예측기반 유지보수까지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실제 자동검측 시스템의 까치집 검출장치로 전차선에 지어진 까치집을 신속히 제거하는 데 효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180여 건을 탐지해 제거했다.

까치집은 전력공급을 방해해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어 발견 즉시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매년 봄철 진행하는 순회 점검과 신고 캠페인 등을 자동검측 시스템으로 보완하며 안전한 열차 운행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코레일은 디지털 기반 유지보수 체계로의 효율적 전환을 위해 ‘전기분야 스마트 유지보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다.

이성형 코레일 전기본부장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스마트 유지보수 체계 구축으로 국민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