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적극, 충북은 시큰둥?
8일 특별 세미나 갖고 본격 여론몰이 나섰지만 실현여부는 미지수
대전시가 충청권 지방 은행 설립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충북도가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히며 제동을 건데 이어 지난 7일 안희정 충남지사도 부정적인 의사를 표함으로써 대선 공약화 및 실현 여부에는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전망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전시 및 대전발전연구원은 8일 오전 10시 30분 서구 탄방동 오페라웨딩홀에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에 관한 특별 세미나'를 갖고 충청권 지방 은행 설립의 중지를 모으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염 시장은 또 “오늘 이러한 자리도 설립 환경을 보다 유리하게 만들어 나가자는 취지인 만큼 좋은 의견들이 많이 개진되어 반드시 이번 대선을 앞두고 현실화 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주문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류덕위 한밭대 교수는 “외환위기 이후 지역금융의 특수성과 공공성 등이 경시되고 금융의 수도권 집중과 이에 따른 양극화 및 금융자본의 투기화 증대, 산업지원기능 및 성장잠재력 약화 등으로 지방은행 설립이 더욱 필요하게 됐다”며 “지역자금의 역외유출 방지와 지역기업에 대한 관계금융, 밀착금융을 통해 기업지원 강화 및 지방자치단체등과 긴밀한 협조체제, 공동사업 추진, 지역개발사업 등을 위해 지방은행 설립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남발전연구원 신동호 연구위원은 "금융은 사람의 몸으로 비유하면 '피(血)'의 역할을 하는데 원활한 혈액순환이 건강의 척도인 것처럼 원활한 지역 내 자금 흐름은 지역경제의 선순환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며 지방은행 설립의 필요성에 무게를 실었다.
또 대전대 임상일 교수는 "지역은행 설립은 정치적 필요성과 경제적 합리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면서 "정치적 필요는 물론 경제적 합리성이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치밀한 준비, 합리적인 전략수립을 통해 실행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충북은 지방은행 설립에 관해 다소 유보적이고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충북경실련 이두영 사무처장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추진과 관련해 충북지역 경제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은 대책회의를 갖고 대전시가 제안해 추진하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추진에 충북지역이 참여하는 것은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고, 세종시를 포함한 4개 시ㆍ도지사 공동건의 형식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대선의제화 하는 것은 충북차원의 참여가 결정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는 "충북차원의 지역은행 설립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론화가 필요하며, 각계각층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충북지역의 금융 산업 발전 및 지역은행 설립 추진을 모색한 후 대선 의제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대전·충남북·세종이 한목소리를 내기까지는 상당한 시일과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