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파주 평화경제특구’ 유치에 ‘사활’
시민 공감·의견 수렴 위해 심포지엄 개최 産學硏 등 250여명 참석 염원 담아 응원 교통 등 다방면서 연계성 충분해 ‘최적지’ 김경일 시장, “평화경제특구 유치에 최선”
【SJB세종TV=박남주 기자】 파주시는 지난 24일 평화경제특구 시민 공감대 확산과 의견 수렴을 위해 ‘파주 평화경제특구 시민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시민들의 염원을 모아 평화경제특구 파주 유치에 사활(死活)을 걸고 나섰다.
2023년 ‘평화경제특구법’ 제정 후, 파주가 평화경제특구 최적지로서 지닌 가치와 당위성을 알리며, 시민 공감대 확산에 주력해온 시(市)는 왜 평화경제특구를 파주에 유치해야 하고, 왜 이 곳에 자리 잡아야 하는지를 이날 심포지엄에서 시민들과 함께 논의했다.
김경일 시장을 비롯해 시민 250여 명이 참석한 ‘시민심포지엄’엔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총괄 책임인 서울대 이영성 교수의 발제를 시작으로, 연세대 이원빈 교수와 조성택 경기연구원 센터장, 홍진기 지역산업입지연구원 원장이 참여해 ‘파주 평화경제특구 발전 방향’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영성 교수는 “파주에 평화경제특구를 약 350만 평을 조성해 남북 협력이 재개될 경우 파주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약 5000만 원에서 1억 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전체적으론 이 효과의 두 배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원빈 교수는 “평화경제특구는 파주의 발전을 넘어 침체된 대한민국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며 “지난 4월 추가 지정 후보지로 선정된 파주 경제자유구역과의 연계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성택 센터장은 “평화경제특구는 단순한 산업단지를 넘어 경기북부가 한반도 평화경제지대로 도약키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평화경제특구 성공의 핵심 조건인 기업 유치를 위해 규제 합리화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홍진기 원장은 “평화경제특구 조성과 함께 남북 협력이 본격화되면, 경의축(서울~파주~개성~신의주)을 따라 억눌려 있던 파주의 성장 잠재력이 폭발적으로 발현될 것”이라며 “평화경제특구의 성공을 위해선 남북 관계 경색 국면 발생 시, 대응 방안을 포함한 단계별 이행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김경일 시장은 “시는 GTX-A와 더불어 내년에 개통되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점점 편리해지는 교통과 첨단산업클러스터와의 연계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평화경제특구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평화경제특구가 파주시를 100만 자족도시로 만드는 기회이자, 대한민국의 더 큰 경제성장을 위한 준비인 만큼 54만 파주시민과 함께 평화경제특구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오는 11월 ‘평화경제특구 유치 염원 시민 걷기대회’와 내년 초 ‘평화경제특구 비전선포식’을 개최해 평화경제특구 유치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