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광역지자체별 전력 수급 격차 ‘심화’
대전 자급률 3.3%, 서울 7.5%, 경북 262.6% 順 경북 자급률 262.6% '최고' vs 대전 3.3% '최하위' 지역 간 전력 자급률 극심해 해소 대책안 필요 ‘분산형전원‘ 고도화가 ’전력 불균형 해소‘ 대안 탄소중립 등 두 가지를 동시 달성 가능한 전략 박정 의원, ‘한국전력 2025년 국정감사자료 분석’
【SJB세종TV=박남주 기자】 올 1월부터 7월까지의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의 전력 자급률이 경북은 262.6%인데 반해 서울은 고작 7.5%에 불과해 무려 35배 이상 차이를 보여 지역 간 불균형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시乙)이 한국전력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지난 1월부터 7월까지의 광역지자체별 전력 자급률은 최고 262.6%(경북)에서 최저 3.3%(대전)까지 79배 격차를 보였다.
자급률이 높은 지역은 △경북(262.6%) △전남(208.2%) △인천(180.6%) △충남(180.5%)이고, 낮은 지역은 △대전(3.3%) △서울(7.5%) △광주(11.9%), 충북(25.6%) 등으로 특히 서울의 경우 2024년 자급률이 11.6%에서 2025년 7.5%로 하락해 전력 의존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력 불균형 문제는 단순히 수급 문제가 아니라, 중앙집중형 구조가 한계로, 현재 우리나라 전력망은 영남·호남권 대형 발전소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장거리 송전하는 중앙집중형 구조여서 이 방식은 △막대한 송전망 건설·유지 비용 △송전 과정 전력 손실 △송전탑 건설 갈등 △대규모 정전 위험성 등의 문제를 내포(內包)하고 있다.
박 의원에 따르면 해결방안으로 분산형전원이 논의되고 있는데, 전력 수요지 인근에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소규모 발전설비를 분산 배치해 ‘지역 생산·지역 소비’ 구조를 만드는 방식으로, 송전망 건설 부담 경감과 전력 손실 최소화는 물론 계통 안정성 강화,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가상발전소(VPP)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VPP는 ICT 기반으로 전국에 흩어진 분산자원을 통합·관리해 최적화된 전력 생산·거래를 가능케 함에 따라 현재 정부는 분산형 전원 체계 전환을 위해 2024~2028년 5년 간 총 10조 2000억 원을 배전망 확충에 투자할 계획이다.
박 의원은 “분산형전원 고도화는 전력 불균형 해소와 탄소중립 달성이란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전략”이라며 “분산형전원의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