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M, 불법계엄 잔재 청산···'헌법 수호'
軍 강한 '자주국방의 길'로 나아가야 국민에 총부리···앞으론 결단코 안 돼 軍 재건 위해 민주·제도적 기반 강화 독립군·광복군은 대한민국 국군 뿌리 軍 구국 정신 지켜야 할 고귀한 사명 건군 77주년 국군의날 행사에서 강조
【SJB세종TV=박남주 기자】 이재명(JM) 대통령은 1일 불법 계엄의 잔재를 청산하고, 헌법을 수호하는 군대를 재건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선 군이 신뢰를 바탕으로 강력한 '자주국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계룡대에서 개최된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행사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일부 군 지휘관이 최고 권력자의 편에 서서 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겨눴다"며 "이런 일은 앞으로 어떤 경우에도 결단코 있어선 안 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다행히 대다수 장병들이 '제복 입은 시민'으로서 부당한 명령에 저항하는 용기 덕에 비극과 불행을 막았지만, 그 후과는 실로 막대하다"며 "군의 명예와 신뢰가 실추(失墜)됐다"고 직시했다.
따라서 "군이 하루속히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한다"며 "헌법과 국민을 수호하는 군대 재건을 위해 민주적·제도적 기반을 단단하게 강화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 대통령은 군 장병 처우개선에 대해 "부상 장병에 대한 예우를 강화해 '부를 땐 국가의 자녀, 다치면 나 몰라라'라 하는 한탄이 통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오늘이 77번째 국군의 날이지만, 우리 군의 역사는 그 이전부터 시작됐다"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군과 광복군이 바로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이자, 근간"이라고 정의(定義)했다.
그러면서 지난 정부 당시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추진 논란을 상기(想起)하며 "목숨 걸고 싸웠던 (독립군과 광복군의) 구국의 정신이 우리 군이 지켜야 할 고귀한 사명임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