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직선제 관련, "문제점 개선하되 현행 유지" 입장

설동호 대전시교육감, 29일 전국 최초 '에듀힐링센터' 설치운영 계획 밝혀

2015-04-29     ncn

[# 사례] 대전시 A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B교사(47세)는 얼마 전 학부모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고 깜짝 놀랐다. 전화를 받자마자 생전 들어본 적이 없는 욕설을 퍼부었기 때문이다. 누구의 아버지인지 알고 있고, 그 가족의 이력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몇 분 동안 욕을 퍼부어 대고 전화를 끊는 학부모의 태도에 어찌 해야 할지 난감했다. 교사라는 신분 때문에 대처할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더욱 비참하고 참담했지만 누군가와 얘기하기에는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다. “가면을 벗고 싶다. 교사라는 가면을. 가면을 벗고 속시원하게 같이 욕이라도 했더라면 좌절감이나 전화에 대한 불안증이라도 없지 않을까요?”라고 반문한다.

일선 교육현장을 둘러보면 이제는 교원들도 '감정노동자' 시대라고들 말한다. 종래의 텔레마케터 등 친절한 전화응대를 하여야 하는 위치에 있는 업종 종사자들이 대표적인 감정노동자로 분류돼온 것이 사실이나 일선 교육현장 역시 어려운 환경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란 얘기다.

이같은 점을 반영, 대전시교육청 산하에 전문적인 교원심리상담 치유센터가 설치 운영된다.

그만큼 교원의 정신건강이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셈인데, 오는 5월 11일 대전시교육청사 3층에 이 센터가 설치되면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대전시교육청은 밝히고 있다.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은 29일 시교육청 브리핑실에서 이같은 계획을 담은 교원치유상담센터 곧 '에듀힐링센터(EHC)'를 오는 5월 11일부터 설치하겠다는 구상을 밝히고 "교육감 당선 후 일선 교육현장을 돌며 느낀 바로는 마음의 상처를 입는 교원들의 현실이 정말 심각한 수준"이라며, "모든 교원들부터 행복한 교육현장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시교육청은 또 교권 침해로 인한 피해교원에 대한 조치를 적기에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교육감 공약사업인 '제자사랑 스승존경 문화 조성'에도 부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치유센터의 운영시간은 평시 업무가 마무리되는 시점인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될 것으로 보인다.

설 교육감의 구상은 무엇보다도 '교사가 행복해야 교육현장이 행복하다'는 컨셉에서 출발한다.  모든 교원에세 '진단-상담-치유'의 과정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교직생활을 영위하도록 돕는 센터로 학생들을 위한 '위(Wee)센터', 교사들을 위한 '티(Tee)센터', 그리고 학부모를 위한 '피(Pee)센터'로 구성된다. 기존에 위센터와 티센터 외에 피센터는 내년도에 설치될 예정.

학업부적응 학생 급증 반면 학부모 요구는 높아지는 탓..교권침해 지난해 253건

사실, 현대 교육현장에서 교원들의 업무량은 급속히 늘고 있고, 그만큼 정신적 감정적 노동강도는 높아졌다고 교육현장에서는 이야기한다. 다분히, 학업부적응 햑생들이 급증하는 반면에 학부모들이나 사회의 요구 수준은 갈수록 높아져가는 현실에 기인한다.

실례로 지난해 대전시교육청 산하 교권침해 사례가 무려 253건에 달해 이 부분과 관련된 상담-치유도 쉽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교육청은 그러나 이번에 설치되는 '티(Tee)센터'는 모든 교원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가령, 상담건수 뿐만 아니라 비밀을 요하는 제언 등도 접수하게 된다는 것이다. 

시교육청은 오는 5월 시의회 임시회에 이같은 구상 실현을 위한 예산 5천만원에 대한 승인신청을 받아 전문상담가 10여명을 배치하는 등 온 오프라인을 통한 신청과 진단검사, 치유과정 등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설 교육감은 이날 이 센터 운영계획과는 별도로, 그간 대전고의 국제고전환 방침과 관련, "대전고 동문회를 포함해 학교 구성원들이 국제고전환계획을 신청해옴에 따라 모든 심의 절차 등을 마무리지은 상태"라고 밝혔다.

설 교육감은 또 최근 서울시교육감의 잇단 중도하차로 빚어진 교육감 직선제 폐해가 논란과 관련해 "교육은 전문성과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되는 만큼 교육감의 직선제 선출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찬성하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선해가는 선에서 현행 제도 유지쪽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주민직선제 찬성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