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메르스 뒷북 대응에 '불안 증폭' 비난

2015-06-05     세종TV

충남도가 메르스 발생과 관련, 자체대응 세부계획을 내놓지 못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도민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난이다.

 현재 충남도는 도내 메르스 감염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점검하는 대책반을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15개 시·군을 연결하는 핫라인도 운영하지 않는 등 사실상 무대응 상태다.

4일 충남도와 도의회 등에 따르면, 당초 아산에서 발원(보균자)해 평택에서 감염 확산된 메르스 발병, 전파와 관련 도내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대응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충남도는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날 충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소속 오배근 문화복지위원장과 정정희, 김종필, 김현 의원 등이 복지보건국 관계자들을 상대로 대책을 점검하고 신속한 대응을 주문했다.

오배근 문화복지위원장은 “메르스 바이러스 특성상 도의 자체 결정에 한계가 있다”면서 “정부가 격리지정병원을 확정하기 이전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종필 의원은 “도가 제대로 된 대응방안도 내놓지 못하면서 우왕좌왕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정희 의원은 “지금이라도 도내 시군과 대응책을 논의하고 대응 메뉴얼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도는 메르스 발현 16일째 안희정 지사가 처음으로 이날 대책회의를 열어 “직접 관리하겠다”고 나섰지만 늦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안 지사는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대응팀 구성을 지시하지 않은 채 소관 부서인 복지보건국장 대신 자신이 직접 메르스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상황은 질병관리본부의 종합적인 계획과 통제 하에 자치단체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도지사가 직접 나서는 것은 도민 여러분께서 선출해 주신 도지사로서 도민 여러분들의 불안감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기 위해 상황을 직접 챙기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의 위임에 따라 도내에서 격리한 환자는 모두 135명으로 알려졌으며 전국적으로 메르스 격리자는 1천667명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