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논란을 거듭하던 기초선거 무(無)공천 방침과 관련해 '전(全)당원투표와 국민 여론조사 결과'란 카드로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이는 지난 3월 2일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간 통합의 고리로 작용했던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사실상의 출구전략으로 풀이된다.
안 대표는 8일 기자회견을 통해 "기초선거 공천폐지에 대해 국민들과 당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며 "국민과 당원동지들 뜻을 물어 그 결과가 나오면 최종적인 결론으로 알고 따르겠다"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전(全)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50대50으로 반영하는 결과을 통해 기초선거 무공천 여부를 재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결정 후 친노진영 등 비주류측은 안 대표가 지방선거를 두 달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봇물 터지듯 나온 기초선거 무공천 철회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당대표로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평가한다.
친노인사로 분류되는 박홍근 의원은 뉴스1과 통화에서 "안 대표 입장에선 자신의 일관성을 유지하되 민주적인 절차를 보안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라고 긍정 평가했다.
그러나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은 야권통합의 주요 명분이었다는 점에서 약속을 지킨다는 '새정치'의 브랜드를 스스로 훼손시켰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친안(親安)인사로 분류되는 조경태 최고위원은 "무슨 일이 있어도 약속은 지켜야 하고 약속의 실천이 곧 새정치인데, 이를 자꾸만 번복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결국 강경파들에게 굴복당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로선 전(全)당원투표(50%)와 국민여론조사(50%)로 결정될 기초선거 무공천에 대한 결과를 쉽사리 예측할 순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 결과에 따라 안 대표의 정치적 위상도 상당히 달라질 것이다.
가령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측 바람대로 기초 무공천이 지지를 받게 되면 안 대표는 사실상 재신임의 결과를 얻게 되는 셈이기 때문에 당내 위상이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럴 땐 안 대표의 정치적 승부수가 통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엔 통합의 명분도, 리더십도 훼손될 여지가 커 일정 부분 정치적 타격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희웅 민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만약 공천을 해야 한다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경우 안 대표의 정치적 타격은 불가피 할 것"이라며 "자신의 정치적 타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선 모든 책임을 지고 대표직을 내려 놓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최진 대통령 리더십 연구소장은 "안 대표 입장에선 공천을 하는 쪽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오히려 기초선거 무공천 입장에서 물러날 수 있는 명분이 생긴 것"이라며 "이 경우(선거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하는)부담이 덜어진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무공천 결정이 나와도 같은 결과를 놓고 야단법석을 떨었다고 국민들은 생각할 것이고, 공천을 하게 되면 거짓말쟁이 정당이 되는 것"이라며 "결국 꼼수라는 비난을 피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