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유류사고 관련 피해민들이 2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앞에서 2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정부와 삼성측에 신속한 배ㆍ보상을 요구하며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이날 보령, 서산, 당진, 서천, 홍성, 태안 등 충남 6개 시・군과 전남・북 5개 시・군(군산시, 부안군, 영광군, 무안군, 신안군)에서 모인 피해민들은 사고원인 제공자인 삼성의 미온적 태도를 규탄하고 정부에 대해 유류피해 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배・보상 지원 촉구에 한 목소리를 냈다.
또 정부와 삼성 측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서해안유류피해민총연합회는 삼성사옥 앞에서 장기간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피해주민들은 “서해안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지 6년이 됐지만 아직도 보상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그 동안 수회에 걸쳐 집회를 개최하고 삼성을 규탄하면서 정부의 더디고 미흡한 보상에 대해 강력한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이 집회에 함께 참석한 서해안 유류사고지원 특별위원회(위원장 명성철)는 “피해에 대한 실질적 보상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면서 “그동안 생활고에 시달리던 피해민 4명이 목숨을 끊고 피해주민 4000여명이 고령 등으로 숨졌다. 더 이상 피해민을 방치해서는 안된다.”며 정부와 삼성의 책임 이행을 강력 촉구했다.
특별위원회는 지난 5월 13일 윤진숙 해양수산부장관이 보령을 방문했을 때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한 바 있다,
또 지난 5월 23일 열린 제262회 충청남도의회 임시회에서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지원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정부와 국회, 삼성중공업 등에 건의하는 등 피해주민들에 실질적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촉구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안희정 충남도지사도 집회에 참석해 “국회와 함께 힘을 합해 가해 기업인 삼성의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뜻을 밝혔다.
안 지사는 “이 사건을 일으킨 삼성은 물론, 지역 경제와 자연을 책임져야 하는 대한민국 정부는 피해 주민의 고통과 한숨을 외면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삼성은 가해 기업으로써 지역 주민과 지역 경제에 대한 자기 책임을 다해야 하며,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국책사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이 문제를 국제 손해사정이나 국내 손해사정, 국내 민사재판이 끝난 뒤로 미뤄선 안된다. 이제 결론내야 한다”는 의지를 내비췄다.
또 “도지사와 도의회 의원, 국회와 국회의원들이 피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해 삼성과 국가의 책임 있는 행동을 끝까지 이끌어 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