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경지면적 조사 결과>
’13년 경지면적은 1,711천ha로 ’12년(1,730천ha)보다 1.1%(19천ha) 감소
논면적은 964천ha로 ’12년(966천ha)보다 0.2%(2천ha) 감소
밭면적은 748천ha로 ’12년(764천ha)보다 2.1%(16천ha) 감소
2013년 경지면적 증가면적은 63.8천ha이고, 감소면적은 82.3천ha로 전년대비 18.5천ha 감소
이는 전년도 원격탐사 경지면적에 비해 1.1% 감소한 것으로, 최근 10년간 현장조사 경지면적조사의 연평균 감소율(-1.0%)과 비슷
* 경지면적 증가 사유 : 개간 23.9천ha, 간척 0.4천ha 등
* 경지면적 감소 사유 : 건물건축 5.4천ha, 공공시설 1.2천ha 등
주요 시도, 시군 경지면적
시도별 경지면적은 전남 308.2천ha(18.0%), 경북 279.5천ha(16.3%), 충남 224.6천ha(13.1%) 순으로 넓게 나타남
시군별 경지면적은 해남군 35.4천ha(2.1%), 제주시 31.6천ha(1.8%), 서귀포시 31.3천ha(1.8%) 순으로 넓게 나타남
최초로 조사된 세종시의 2013년 경지면적은 10,316ha 이고, 논 면적은 5,508ha, 밭 면적은 4,808ha로 조사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건설 등으로 기존 연기군 지역에서 많은 경지가 감소하였으나 충남 공주시, 충북 청원군 일부지역 편입
<원격탐사 활용 경지면적 조사 체계>
통계청은 2012년부터 경지면적을 원격탐사(Remote Sensing : RS)로 조사, 표본지역의 위성영상을 판독하여 경지면적 통계 작성
원격탐사 활용 경지면적조사는 전국에 산재된 42,062개 표본구역의 위성영상을 판독하여 면적 산출
주요 활용 영상은 우리나라의 아리랑 2, 3호 위성영상이며 통계청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위성영상활용협의체에 가입되어 있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무상으로 영상을 공급 받아 통계작성에 활용
경지면적조사를 위한 원격탐사 수행절차
GIS data 및 위성영상준비 → 영상 판독 → 면적 산출
경지면적 표본분포와 표본구역(SSU 예시)
경지면적 표본은 4ha면적(200m×200m)의 총 42,062개 SSU
원격탐사 활용 농업통계 작성 추진경과
‘원격탐사기술의 농업통계 활용 중장기계획’ 수립(’08.6)
* 원격탐사 방법론 개발 및 3개 시군(김포, 연기, 김제) 시험조사 완료(’08.12)
영상기반 표본조사 방법개발 및 1개도(전북) 시범사업 완료(’10.12)
경지면적조사 전국 시범사업 완료(’11.12)
2012년 원격탐사 활용 경지면적조사 실용화(’12.5~12)
* 원격탐사 경지면적 실용화 사업 수행
2013년 원격탐사 활용 경지면적조사(’13.5~12)
* 세종시 경지면적조사 최초 실시
<세종시 경지면적조사>
2012.7.1. 세종시 출범에 따른 행정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여 행정경계 변화가 반영된 새로운 기준의 통계를 신속하게 생산
새롭게 탄생한 세종시의 경지면적은 토지피복지도와 위성영상으로 모집단을 분석하여 새로운 표본을 추출
세종시 경지모집단을 구축한 후 표본 PSU 및 SSU를 추출한 후 표본지역의 2013년도 위성영상을 판독하여 경지면적 산출
행정경계가 변화한 기존 지역의 경지면적 조정
충남 공주시, 충북 청원군 일부지역이 세종시에 편입됨에 따라 해당 편입 면적을 위성영상으로 파악하여 기존 지역의 경지면적 조정
※ 세종시 신규표본과 공주시/청원군의 세종시 편입 면적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