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항만개발 41개 사업 3조 반영 ‘환황해 중심 도약’ 탄력
상태바
충남 항만개발 41개 사업 3조 반영 ‘환황해 중심 도약’ 탄력
  • 황대혁 기자
  • 승인 2020.12.30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4차 항만기본계획·3차 항만재개발기본계획에 도내 사업 대거 포함
- 신평∼내항 연륙교 1405억·보령 신항만 준설토투기장 841억 원 등

충남도 내 항만 개발 사업이 국가 계획에 대거 반영되며 환황해권 중심 도약을 위한 또 하나의 돛을 펴게 된다.

도는 해양수산부가 30일 고시한 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31일 고시하는 3차 항만재개발기본계획(20212030)에 도내 5개 시·7개 항만 41개 사업 29866억이 반영됐다고 30일 밝혔다.

항만기본계획은 항만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10년 간 전국 60개 항만에 대한 정책 방향과 시설 개발·정비, 연계수송망 구축 사업 등을 담고 있다.

항만재개발기본계획은 유휴 항만과 그 주변에 대한 개발 계획이다.

두 계획에 이름을 올린 도내 항만별 사업은 당진항 1212815억 원 서산 대산항 107201억 원 보령항 42940억 원·대천항 96304억 원 서천 장항항 1275억 원·비인항 5331억 원 등이다.

당진항에서는 신평내항 간 연륙교(3.1)와 연결되는 내항 가로망(서부두 매립지 내 진입도로·5.8) 1069억 원이 반영되며 연륙교와의 연결성을 높이고, 매립지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당진항에는 이와 함께 항만 물동량 증가 수요에 대비해 송산 일반부두 2선석 조성 1249억 원도 담겼다.

음섬포구 주변 398000에는 친수공간을 조성, 주변 해양관광산업과 연계한 관광벨트를 구축할 계획으로, 총 사업비는 2064억 원이다.

대산항은 충청권 유일의 컨테이너 전용 항만으로의 장점을 특화시키고, 관광항만 개발과 대기질 개선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601억 원을 투입, 항로와 항내 선회장 준설을 통해 선박 운항 여건을 개선하고, 4선석에 153억 원을 들여 육상전원공급설비(AMP)를 설치한다.

AMP는 발전소 생산 전력을 수송선에 직접 공급해 하역 작업에 필요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선박 자체 발전용으로 벙커C유를 사용할 때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96%까지 줄일 수 있다.

대산항에는 이밖에 2000TEU급 다목적 컨테이너 부두 390억 원, 관리부두 1425억 원 등이 지속 포함돼 2021년 운영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보령항은 신항만 준설토투기장 419000841억 원, 신항만 관리부두 1482억 원 등이 반영되며, 30년 숙원 사업인 보령신항 개발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보령신항 준설토투기장은 지난 826일 기획재정부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 내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신항만 관리부두는 전용 시설이 없어 오천항 인근 해상에 계류하던 예인선을 위한 시설로, 완공하면 안정적인 항만 운영과 주변 어선 통항 불편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천항과 관련해서는 항내 준설 110103억 원 북방파제 준설토투기장 143000693억 원 등이 계획에 올랐다.

대천항 동측 준설토투기장 331000는 재개발 사업(3653억 원)이 반영돼 주변 관광지와 연계를 통한 사계절형 해양관광지 조성을 추진하게 된다.

비인항은 항내 준설 73억 원, 물양장 설치 63억 원 등이 반영됐다.

장항항은 옛 물양장 58000275억 원을 투입,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태안항은 발전용 연료 수송을 지원하는 에너지 중심 항만 기능을 유지한다.

도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내 수출입 업체 물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이번 계획에 반영된 사업들이 조기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신규 사업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해양건도 충남의 환황해 중심 도약을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세종TV 지희홍 회장 취임, 제2도약 선언
  • 공주시, ‘제4회 유구색동수국정원 꽃 축제’ 기대감 고조
  • 충남연구원, 산·학·연 전문가들과 오존 관리 머리 맞대
  • 대전시, 대덕 평촌지구 도시개발사업 2단계 용지 공급
  • 대전시,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이전 기념식수 및 정책포럼
  • 금산군, 제일어린이집 365x24 어린이집 지정…맞춤형 돌봄 체계 실현
    • 본사 : 세종특별자치시 금송로 210 (세종빌딩301호)
    • Tel : 044-865-0255
    • Fax : 044-865-0257
    • 서울취재본부 :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2877-12,2층(전원말안길2)
    • Tel : 010-2497-2923
    • 대전본사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 150번길 63 (201호)
    • Tel : 042-224-5005
    • Fax : 042-224-1199
    • 공주취재본부 : 공주시 관골1길42 2층
    • Tel : 041-881-0255
    • Fax : 041-855-2884
    • 중부취재본부 : 경기도 평택시 현신2길 1-32
    • Tel : 031-618-7323
    • 부산취재본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안로 90-4
    • Tel : 051-531-4476
    • 전북취재본부 : 전북 전주시 완산동 안터5길 22
    • Tel : 063-288-3756
    • 법인명 : {유}에스제이씨방송
    • 제호 : 세종TV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세종 아 00072
    • 등록일 : 2012-05-03
    • 발행일 : 2012-05-03
    • 회장 : 지희홍
    • 사장 : 배영래
    • 발행인 : 정일형
    • 편집인 : 황대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대혁
    • Copyright © 2025 세종TV.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e129@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