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 생산 시설설치‘ 팔걷어 붙여
생산활용 거점도시 도약 등 특성 반영
교통·산업·생활 등 수소활용 계획 포함
생산과 공급·활용 선순환 생태계 조성
박준태 국장 “탄소중립 이행할 이정표”
생산활용 거점도시 도약 등 특성 반영
교통·산업·생활 등 수소활용 계획 포함
생산과 공급·활용 선순환 생태계 조성
박준태 국장 “탄소중립 이행할 이정표”

【SJB세종TV=최정현 기자】 파주시는 지난 26일 ‘미니수소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최종 보고회를 열고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에 나섰다고 28일 공개했다.
이번 계획엔 청정수소 생산·활용 거점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전략이 담겼으며, 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수소생태계 조성 전략 △수소생산시설 통합공정 구축 방안 △교통·산업·생활 등 분야별 수소 활용 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
시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단계별 기반시설을 구축, 수소의 생산·공급·활용이 선순환하는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할 복안이다.
시는 1단계 사업으로 2027년 6월까지 환경순환센터 현대화사업과 연계해 수소생산시설을 갖춰 이를 통해 하루 500kg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 온실가스 감축과 자원순환을 동시에 실현하는 친환경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박준태 환경국장은 “이번 미니수소도시 조성사업 기본계획은 시(市)가 탄소중립 이행을 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수소생산시설을 중심으로 수소 생태계를 확장,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세종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