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거점 육성 ‘제안’
박정 의원 “정부 대책 조속히 마련해야”

【SJB세종TV=박남주 기자】 경기북부권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이 수도권 전력위기와 재생에너지 목표의 해법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 소속 민주당 박정 의원(경기, 파주시乙) 은 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히고 “정부의 재생에너지 목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70TWh 까지 확대해 전체 발전량의 37%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이를 위해선 현재 34GW 수준의 설비를 최소 130~200GW로 늘리는 등 서울시의 3배(1700㎢) 이상의 부지가 필요하다.
박 의원은 “좁은 국토에서 대규모 신재생 입지를 찾는 일은 사실상 어렵다”며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제한보호구역과 민통선 북상 시, 추가로 확보되는 미개발 부지가 신재생에너지 입지로 전환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
그러면서 “현재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뿐 아니라, 경기도 AI 선도산업 특구와 연계해 경기도 AI 벨트가 완성되면 수도권 전력 리스크가 국가 발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고 진단했다 .
따라서 그는 “남부권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송전하는 기존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은 수백킬로의 송전망이 필요해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된다”며 “경기북부권은 파주~서울 30km, 고양~용인 80km 수준으로 비용과 기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박 의원은 “2035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수도권 전력안정, 에너지 고속도로의 효율성 제고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전략이 바로 ‘경기북부 에너지 고속도로다’ ”며 “정부가 이를 포함한 실질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