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 계획 석재 확보···비축 계획 ‘무용지물’
전통재료 등 분석, ‘계획 수립·집행’ 필수
박수현 의원 ‘국가유산청 전통재료’ 분석

【SJB세종TV=박남주 기자】 국가유산 복원에 필요한 주요 전통재료들을 국가가 관리하며, 안정적인 수급과 품질관리를 위한 ‘전통재료 비축·공급 사업’ 비축 계획이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소속 민주당 박수현 의원(청남, 공주시·부여·청양군)이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수리 전통재료 비축·공급사업 현황을 분석, 발표한 것으로, 2024년 계획대비 비축은 12%, 올해 8월 말 기준 계획대비 비축은 979% 로 널뛰기하고 있었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수리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의 3과 동법 시행령 제 6조 4에 따라 전통재료 수급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및 수급계획 수립· 비축을 진행하고 있으나, 비축 재료는 2024년 설립된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에 비축되며, 실제 지난 7월 서울 문묘 대성전 수리를 위해 비축한 목재 1200재를 공급키도 했다.
그러나 국유청의 이같은 비축 계획 수립에도 불구하고, 계획과 전혀 다른 양상으로 이어져 2024년엔 목재 3만 6174재의 비축을 계획했으나 실제 비축량은 12.2%(4414재)에 불과했다.
올해도 목재 1만 3635재 비축을 계획했으나, 올해 8월 말까지만 13만 3584재를 비축해 계획 대비 달성률이 979.7%에 이르는 등 당초 계획에도 없던 석재 확보에 예산이 투입돼 계획의 현실성과 실효성에 강한 의문을 사고 있다.
한편 국유청은 전통재료 비축 및 공급사업을 담당하는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에 작년과 올해 34억 8000만 원의 운영비 등 총 61억 64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