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監 지적에도 안이하게 대응 비난 자초
중국, ‘아리랑·농악·김장’ 등 자국 것 주장
매뉴얼·전담조직 신설 등 대응 방안 시급
박수현 의원, 유산청 홈피 國監자료 분석

[sjb세종tv박남주기자] 국가유산청이 한국의 ‘전통매듭’이 중국의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설명을 수년간 홈페이지에 게시했다가 삭제한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이같은 한국 정부의 설명을 근거로 중국 측이 ‘한국 전통매듭’이 자국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실정임에도 정부가 재발 방지에 안이(安易)하게 대응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매듭은 고려·조선시대 때부터 광범위하게 사용·전해져오며 단순한 식품을 넘어 장인정신과 미학을 담은 한국 고유의 전통공예로, 1968년 국가 무형유산 매듭장(매듭匠)으로 지정돼 전승되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소속 민주당 박수현 의원이 지난 24일 국가유산청의 ‘매듭장에 대한 홈페이지 설명자료’를 인용,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매듭이 중국과의 빈번한 교류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적시돼 있었다.
하지만 박 의원실의 문제 제기와 자료 요구로, 국가유산청은 지난 1일 해당 표현을 삭제·수정하고, “오해를 일으킬 수 있어 표현을 수정했다”며 “‘매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명이 홈페이지에서 노출된 ‘기간’은 확인이 어렵다”고 해명했다.
사실 정부의 이같은 대응은 작년 국감 때 박 의원이 문제 제기를 했음에도 다른 한국 무형유산 사례인 △아리랑 △가야금 △농악 △김장 등 총 20개 품목의 한국 무형유산에 대해 중국은 자국의 국가급 무형유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 의원은 “K-콘텐츠가 전 세계를 선도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 문화유산이 타국의 것으로 왜곡되는 문화 침탈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정부는 기본적인 모니터링이나 대응 매뉴얼 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전담 조직 설치와 매뉴얼 개발 등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