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이동경로 예측으로 사고 예방
선제적 알림으로 운전자 대응 시간 확보
【SJB세종TV=최정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교차로에서 보행자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며, 교통안전의 패러다임을 바꿀 기반을 마련했다. 해당 기술이 향후 지방자치단체 실증을 거쳐 상용화되면 보행자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8월부터 천안시 주요 교차로 4곳에서 국내 최초로 보행자의 미래 이동 경로를 예측해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예지(豫知)형 보행자 안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실증 운용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단순히 보행자를 탐지하는 기존 안전 시스템을 넘어, 운전자가 미처 보지 못하는 횡단 예정 보행자까지 사전에 인지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차세대 교통안전의 패러다임을 여는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지자체에 보급된 기존 보행자 알림 시스템은 사람이 수동으로 특정 ‘검지(檢知)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이었다. 이 때문에 근처를 지나가는 보행자도 위험으로 인식해 불필요한 경보가 울렸고, 카메라가 새로 설치되거나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검지영역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무엇보다 보행자가 이미 도로에 진입한 후에야 경고가 울려 운전자의 대응 시간이 부족했고, 설정된 검지영역 밖 차도 구간은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오류도 있었다.
ETRI가 개발한 ‘예지형 보행자 안전 서비스’는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예측하는 기술이다.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 운전자용 전광판, 제어기, 원격 영상 분석 서버로 구성된다. CCTV가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2초 이내에 도로 영역 맵을 자동 생성해 횡단보도와 차도 전체를 위험 위치로 식별한다. 이를 통해 실제 교통 환경을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보행자의 미래 경로를 예측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기 약 3초 전부터 전광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위험 알림 보낼 수 있다. 위험 알림은 예측된 보행자의 미래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위험도를 산출해 0~4단계(총 5단계)의 단계별 위험 정보(보행자 안전 이미지)를 안내 전광판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실제 횡단할 보행자에 대해서만 경보가 발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알림을 줄일 수 있고, 운전자는 우·좌회전 시 사각지대의 보행자까지 미리 인지할 수 있다. 현재 이 서비스는 유동 인구가 많은 천안역 인근 2곳과 터미널사거리 2곳 등 총 4개 지점에 설치돼 우회전 차량 대상 실증 운용 중이다./영상제공=ET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