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 정체 비롯한 근본 전략 수정’ 시급
수소경제-무공해車 국가 핵심전략 ‘무색’
현실에 맞는 ‘단계별 전략’으로 전환해야
박정 의원, 기후부에 보급 전략 수정 촉구
수소경제-무공해車 국가 핵심전략 ‘무색’
현실에 맞는 ‘단계별 전략’으로 전환해야
박정 의원, 기후부에 보급 전략 수정 촉구

【SJB세종TV=박남주 기자】 친환경 자동차로 불리는 수소차를 정부 스스로도 구매를 꺼리는 상황에서 수소차 보급 정체를 비롯한 근본적 전략 수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 소속 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시乙)은 지난 28일 기후부에 대한 종합國監에서 “정부가 수소경제와 무공해차 전환을 국가가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으나, 실제 수소차 보급은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며 “정부 스스로도 수소차를 구매하기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이라고 직시했다 .
박 의원은 경찰청의 수소버스 사업을 대표적 실패 사례로 들어 경찰청은 10년간 802대의 경찰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하겠다는 계획 아래 현대차와 MOU를 체결했으나, 2025년 현재까지 구매된 차량은 16대에 불과하다“며 이유가 뭐냐고 캐물었다.
특히 그는 수소차 확산이 어려운 구조적 이유로, 2025년 현재 전국 전기차 충전기는 약 59만 개소인데 반해, 수소충전소는 고작 250개소 남짓에 불과함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의원은 “수소버스 한 대 가격은 약 7억 원으로 일반버스의 2~3배 ”라며 “ 연료비마저 전기버스보다 비쌀 뿐 아니라, 청정수소 공급 체계도 확립되지 않고, 연료 단가도 불안정한 상태여서 그렇다”고 강조했다 .
따라서 그는 김성환 장관에게 “정부는 수소차 보급 정체를 일시적 조정기로 보고 있느냐”며 “단기간 내 확산이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고, 보급 전략을 수정하라”고 호통쳤다.
저작권자 © S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