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당한 노동자들 직업복귀 기능 소외
의사 처방 따라 맞춤형 보조기 지원해야
재활기기 R&D 진행해 직업 복귀 뒷받침
재활기 개발 연계된 통합형 시스템 필수
박정 의원, 고용노동부 ‘國監’ 통해 지적
의사 처방 따라 맞춤형 보조기 지원해야
재활기기 R&D 진행해 직업 복귀 뒷받침
재활기 개발 연계된 통합형 시스템 필수
박정 의원, 고용노동부 ‘國監’ 통해 지적

【SJB세종TV】빅남주기자 =산업재해를 당한 노국동자들이 속히 일터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주장이 국정감사에서 현안 문제로 떠올라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세종TVDB)
산업재해를 당한 노국동자가 신속히 일터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직업복귀 기능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 소속 민주당 박정 의원(경기, 파주시乙) 은 지난달 30일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산재보험의 목적 중 하나가 직업복귀임에도 보상에 치중돼 직업복귀 부분이 소외되고 있다”며 “이유가 뭐냐”고 따져물었다 .
박 의원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맞춤형 의지·보조기를 제작·지원하고, 재활기기 R&D를 진행하며 직업복귀를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공단 인천병원 산하 의료연구센터는 치료기술 개발, 수가 산정 연구, 의료자문 등 임상 중심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두 기관이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데, 심각한 문제가 있다.
박 의원은 “재활공학연구소는 의료 인력이 부족하고, 의료연구센터는 재활기기와 기술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두 기관이 분리 운영되는 구조는 비효율적”이라며 “두 기관을 통합해 이사장 직속의 협력체계를 구축, 임상 연구와 재활기기 개발이 연계된 통합형 직업복귀 시스템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그러면서 “산재보험은 재해자의 손해를 보전하는 것과 동시에 다시 일터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직업복귀도 신경써야 한다” 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S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