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대전시와 롯데쇼핑㈜, 롯데월드가 엑스포과학공원 내 복합테마파크를 조성키로 하면서 엑스포재창조 사업은 9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각종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지난 6월 롯데 측이 세부사업계획서를 시에 제출하면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논란은 증폭됐다. 주요 쟁점은 과학공원의 상징성 훼손과 교통대란, 문화수익시설에 따른 지역 중·소상인 피해 등으로 압축된다.
시는 각종 엑스포 기념 전시관과 과학체험 프로그램으로 조성된 ‘S-Park’, 백화점 이상 수준의 품목을 다루게 될 문화수익시설로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7면 현재 엑스포과학공원의 실태와 엑스포재창조 사업의 실체를 알아보고 주요 쟁점들을 분석해 ‘엑스포재창조, 대전을 위한 최대공약수’를 제안해 보는 시리즈를 4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개발도상국 최초로 치러진 ‘대전엑스포 93’. 대전엑스포는 남녀노소에게 신세계를 선사했다.
엑스포에 참가한 108개국 33개 세계조직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했으며 17개의 전시관은 앞다퉈 당시로서는 최첨단인 3D 기술로 관객을 압도했다. 입소문을 타고 대전을 방문한 관람객은 무려 1300만 명. 엑스포에 선착하기 위해 텐트를 치고 밤새우기 일쑤, 1개 전시관을 관람하기 위한 열망에 8시간 줄 서기는 기본이었다.
◆정부도 포기한 대전엑스포
대전 발전을 10년 앞당긴 것으로 평가되는 대전엑스포는 1993년 이후 껍데기만 남게 됐다. 같은 해 12월 대전엑스포기념재단이 설립됐고, 대교그룹이 대주주인 ㈜엑스피아월드가 운영권을 인수받아 엑스피아월드라는 이름으로 이듬해 그러니까 1994년 8월 재개장했다.
그러나 매년 격감하는 방문객수로 경영난을 겪자 1997년 11월 엑스포기념재단은 계약을 해지하고 직영에 들어갔으며, 1998년 민간 매각을 추진했지만 매각예정가격 절충 무산으로 수포로 돌아갔다. 해법을 찾지 못했던 정부는 1999년 1월 대전시로 무상양여를 결정했고, 시는 지방공사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을 설립해 운영했다.
이마저도 누적적자로 인해 행정안전부의 법인 청산명령이 떨어지는 아픔 끝에 지난해 11월 공사 해산 후 대전마케팅공사로 운영주체가 변경됐다.
◆‘과학’이 사라진 과학공원
99년 시가 인수한 이후에도 과학공원은 좀처럼 활기를 찾지 못했다. 방문객 수는 지난해 101만 명에 그쳤고, 전시관도 9개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관람객을 이끌었던 자동차관은 철거돼 그 자리에 대전교통문화센터가 들어섰으며, 인간과 과학관, 재생조형관, 우주탐험관, 지구관, 한국 IBM관, 한국 후지쯔관 등은 철거되거나 휴관 중이다.
그나마 정부관이 2007년 4월 첨단과학관이란 새 이름으로 재개관해 중앙과학관이 운영을 맡으면서 대덕특구의 성과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소재관(입체영상관)은 과학문화체험관으로 임대 활용하고 있다.
자기부상열차관은 국비 98억 원을 들여 지난 2010년 7월 운행을 재개해 중앙과학관이 운영을 맡고 있으며, 에너지관과 전기에너지관은 지식경제부와 한전이 운영하고 있다.
마케팅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이미지네이션관(돔 영상관)은 대전엑스포 당시 영상물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테크노피아관이 영상물을 교체해 상영하고 있는 정도다.
대부분의 전시관들이 대전엑스포 당시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치고 있는데 이는 3D를 안방에서 실시간 체험하는 현재 상황에서 더 이상 ‘과학’이라고 하기엔 민망하다.
‘과학공원’의 명맥을 유지하면서 보다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기 위한 변화의 물결은 말처럼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요즘 수준에 맞춰 과학공원을 단장하자면 휴관 중인 전시관 개장에 약 450억 원, 영상물 교체에 수천만 원이 소요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까다로운 관객의 입맛을 맞추자면 최소 4∼5년마다 교체는 필수다.
지방공사 설립 시 986억 원에 달했던 현금 보유액도 올해 말이면 30억여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시는 내년도 본예산에 과학공원 운영비 118억 원을 상정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과학공원은 정부가 일부 전시관을 리모델링해 운영하고 있지만 나머지는 1993년 당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며 과학공원이란 명성에도 맞지 않는 게 사실”이라며 “현 수준 유지에만 매년 100억 원의 운영비가 소요되는데 활성화를 위해 시가 리모델링하기엔 불가능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