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군 자살자가 늘어가고 있지만 자살발생부대 부대원들과 유족에 대한 사후관리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김광진 의원(민주·비례)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살발생부대 사후관리 현황’자료에 따르면 자살이 발생한 부대 중 대부분은 부대원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교육과 면담만을 실시하고 있어 국방부의 사후관리 계획이 보여주기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올해 들어 국방부의 ‘자살예방 종합대책’에 추가된 사후관리는 ▲ 유가족 지원인원 편성 운용, 장례 종료시까지 세심하게 지원 ▲ 지역 정신보건 센터 소개 등 유가족 상담안내 ▲ 소속 부대원들에 대한 정밀면담, 인성검사, 상담관 상담 ▲ 자체진단과 외부진단을 통한 통합진단 실시 등이 있다.
하지만 지난해 육군 75명 등 총97곳의 자살발생부대 중 절반 이상이 집단교육과 집단면담을 실시한 것에 그쳤고, 유가족 상담은 공군 2개부대, 정신과 상담으로 병원치료 받은 인원은 7개 부대에서 총 18명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군이라는 폐쇄된 공간 속에서 동일생활권에 있는 부대원들의 심리적 충격은 무척 크다”며, “국방부는 자살자와 시도자에게만 초점을 맞추지말고 사후관리에 대한 전향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세종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