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의 방과 후 학교 ‘민간참여 컴퓨터 교육사업’이 부패방지와 학생 권익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전국적인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1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 감사원이 전국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민간참여 컴퓨터 교육사업에 대해 감사를 벌인 결과 대전교육청만 유일하게 지적을 받지 않은데다 최근에는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부패방지 우수사례로 뽑혔다는 것.
시교육청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사업 참여 방식을 조달청 공개 입찰(G2B 2단계, 규격·가격분리 및 최저가)로 바꿔 투명성을 높였다.
최저가 입찰로 전국이 3만 원으로 같던 월평균 수강료도 2만4000원으로 떨어져 학부모 사교육비 부담도 연간 15억 원쯤 줄었다.
2007년부터 시행된 이 사업은 사업제안서 평가만으로 업체가 선정되다 보니 각종 비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참여업체가 먼저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학교에 기증하고 수강료를 챙기는 방식이다 보니 학교에서 컴퓨터 외 물품을 기증하도록 요구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수강료 인하 요인이 없는 가운데 단체수강으로 수익이 늘면 업체 측이 사업 연장을 위해 학교장을 상대로 로비를 벌여 부패의 온상으로 지적돼왔다.
시교육청은 이를 제도적으로 개선하고자 지난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개 입찰 방식을 도입했고 비리 방지는 물론 수강료 인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김상규 시교육청 미래인재육성과장은 “그동안은 수강료가 한 번 정해지면 3년간 유지됐다”며 “시교육청은 이번에 지침을 또 개정해 일정 기간이 지나 수강생 증가로 수익이 늘면 수강료를 추가로 인하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지난달에도 3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현장 지도·점검을 벌이는 등 수강료 인하와 불공정 행위 차단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시내 민간참여 컴퓨터 교육사업 참여 학교는 80개 초등학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