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수도권규제 완화, 지방투자촉진보조금제도 변경, 타 지자체와의 경쟁 심화 등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유치 1위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충남발전연구원에 따르면 도는 민선 5기 전반기에 1389개의 기업 유치에 성공해 8조1327억원 투자로 39만명의 고용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GRDP 5%에 해당하는 7조5천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충남도가 본격적으로 기업유치 정책을 펼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지난 6년 내내 국내기업 유치 전국 1위를 고수해 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성과는 우량기업 선별 및 전국적 유치활동 전개 등 기업유치 정책의 질적 전환을 통해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도는 양적인 기업유치에서 우량기업 선별유치로 전환해 유니크 등 자동차부품생산 3개사를 예산에 유치하는데 성공했고, 수도권 중심의 유치활동을 전국으로 다변화함으로써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서 디엘피(주)를, 대규모 투자로 SK이노베이션(투자액 1조2천억원)을 유치했다.
그리고, 낙후지역 발전을 선도할 앵커기업 유치결과 국내 최대 알루미늄 생산업체인 동양강철그룹(4개사)을 논산에 유치함으로써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해 나가고 있다.
도는 주요 기업유치 전략으로 단기적으로는 ▲국내기업 유치 촉진을 위한 보조금 지원을 골자로 하는 조례 정비 ▲해외진출 U턴 기업유치 전략 모색 ▲지역소득과 연계되는 기업유치 기준안 마련 등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찾아오는 기업환경 조성을 위해 충남테크노파크 등을 플렛폼으로 설정해 주변에 연구기관, 지원기관 등이 집적되는 기업지원 시스템을 갖춰 나갈 계획이다,
한편, 충남의 기업유치는 지난 2008년부터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대기업의 수도권단지내 공장 신·증설 허용, 2020년까지 수도권 그린벨트 141㎢해제, 수도권 자연보전권역내 공장입지 규제 및 규모제한 완화)이 쏟아지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 변경(지자체별 보조금 예산의 최고 한도 15% 설정, 보조금 지원 실적이 적은 지역의 국비지원 한도 상향) 등으로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다.
더욱이, 지자체별로 기업유치 포상금제도 시행, 입지보조금 지원 확대 등 투자 유인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근 시도(충북, 강원, 전북)에 용지취득이 용이하고 분양가가 낮은 대규모 산업단지가 증가하면서 기업유치 환경이 어려운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