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영향평가 당시 ‘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우려 ’ 의견 제시
- 환경부 · 경기도 ‘ 수위강하 우려 , 싱크홀 대책 수립 ’ 의견 제시
- 박 의원 “ 연이은 지반 붕괴로 국민 불안 커져 … 관계기관에 엄정한 책임 물어야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 ( 대전 중구 ) 이 “ 신안산선 사업이 2019 년 실시된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지반침하 우려가 제기됐다 ” 고 주장했다 .
박용갑 의원이 『 신안산선 복선전철 ( 본선 1 구간 ) 민간투자사업 환경영향평가 보고서 』 를 분석한 결과 환경영향평가 당시 ‘ 본 사업은 도심구간 지하공간에 다수의 시설물 설치를 계획하고 있어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와 인근 지하수 시설에 대한 영향 ( 수위강하 등 ) 이 우려된다 ’ 는 의견이 제시돼 있었다 .
또 ‘ 터널공사에 따른 영향 분석 결과 계획노선 인접 관정에 미치는 최대영향거리가 388m 이고 , 수위는 최대 12m 정도 강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지하수위 강하를 완화할 수 있는 추가 저감 방안과 현재 활용 중인 관정 현황 , 관정의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여야 한다 ’ 는 의견이 제기됐다 .
환경부도 ‘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구조물 안정성 문제와 인근 지하수 시설에 대한 수위강하가 우려된다 ’ 는 의견을 제시했고 , 경기도는 ‘ 싱크홀 발생이 없도록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 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으며 , 서울시는 ‘ 지반조사 심토가 실제 터널구간 깊이에 미치지 못하는 구간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고 있어 실제 지반상태 파악이 어렵다 ’ 며 ‘ 실제 시공되는 곳의 지반조사 결과 자료가 필요하다 ’ 고 비판했다 .
박용갑 의원은 " 강동구 싱크홀 사고에 이어 신안산선 붕괴 사고가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 면서 " 정부가 이번 사고가 부실한 지반조사와 설계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 아닌지 철저하게 조사하여 국민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 " 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