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과학벨트 사업 예산을 삭감해 지역정가에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전지역 시민단체도 사업 부지 매입비의 정부 예산 반영을 촉구하고 나서 향후 정부의 대응방안이 주목된다.
9일 대전참여자치 시민연대는 논평을 통해 “그동안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사업은 이명박정부의 충청권 공약사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지화를 선언하는 바람에 불필요한 국론분열과 지역분열의 과정을 거치며 우여곡절 끝에 대전지역이 거점지구로 확정된바 있다”며 “이런 가운데 또다시 부지매입비 전액삭감과 관련예산의 대폭삭감은 과학의 백년지대계를 꿈꾸고 과학기술 연구기반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추진중인 현 정부의 핵심국책사업이 또다시 표류하고 지체되는 것은 아닌지하는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과학벨트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려면 부지매입부터 이뤄져야 하고 관련 부지매입비의 예산반영은 당연한데도 불구하고 관련예산 전액을 배재한 채 대전시가 부지매입비를 확보해야 한다고 핑계대는 것은 정부의지마저 의심케하는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는 또 “과학의 백년지대계의 첫 삽을 뜨는 과학벨트사업의 부지매입비의 반영과 삭감된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사업 예산은 반드시 전액 반영시켜야 한다고 판단한다”며 “현 정부 또한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공약사업이자 과학계의 최대 국책사업인 과학벨트사업의 정상적인 추진을 위해서라도 관련예산은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이번 과학벨트 부지매입 예산 전액삭감 및 핵심사업예산 대폭 삭감 사태는 과학벨트사업의 정상추진 문제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여야 대선후보자들의 입장은 어떠한지 공개적으로 질의코자 한다”며 “충청권 3개시도를 비롯 강창희 국회의장 등 충청권 정치인들의 보다 책임있는 역할도 엄중히 주문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