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기업의 절반 이상이 당초 계획했던 실적 달성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10일 지방 소재 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지방기업의 경영 여건과 애로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 1~4월 매출과 영업이익 등의 목표 실적 달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58.7%가 ‘달성하지 못했다’라고 응답했고, ‘목표를 달성했거나 초과했다’는 업체는 41.3%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 실적이 대기업에 비해 부진, 대기업의 48.4%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 반면 중소기업은 62.4%가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호남권 기업의 목표 미달성률이 64.7%로 가장 높았고, 영남권 63.8%, 충청권 53.3%, 강원권 45.0%, 제주권 41.7%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70.4%) 업종의 실적 부진이 가장 심각했고, 다음으로 ‘건설’(67.9%), ‘식음료·제약’(63.3%), ‘전기·전자’(59.4%), ‘섬유·의류’(58.3%), ‘자동차’(49.2%)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기업들의 체감 경기도 부정적이어서 최근 경기 상황에 대해 68.6%가 ‘경기 회복을 체감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 지방경제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으론 52.5%가 ‘2013년’을 꼽았고, ‘2014년’ 25.2%, ‘올 4분기’ 12.0%, ‘올 3분기’ 10.3% 등의 응답률을 보였다.
하반기 경기 불안요인으론 대외적 요소로 ‘유가 및 원자재가 상승’(60.3%), ‘유럽 재정 위기 재발’(19.8%), ‘엔화 약세’(10.7%), ‘중국 등의 신흥국 성장 둔화’(7.9%), ‘북한 도발’(1.3%)을, 대내적 요소로 ‘내수 판매 부진’(54.1%), ‘선거에 따른 정책 표류’(14.9%), ‘임금 상승’ (14.5%), ‘금리 인상’(12.0%) 등을 우려했다.
실적 달성이 어려운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원가 절감’(25.6%)과 ‘신기술·신제품 개발’(24.0%)에 주력하겠다는 기업이 많았고, ‘해외시장 진출’(19.0%), '마케팅 강화’(10.3%), ‘신산업 진출’(7.0%), ‘리스크 관리 강화’(5.8%), ‘전략적 제휴’(4.5%), ‘구조조정’(3.8%) 순으로 응답됐다.
경영 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는 ‘물가·환율 안정’(36.4%)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저금리 유지 및 대출 여건 개선’(17.4%), ‘새로운 판로 개척 및 해외 마케팅 지원’(15.3%), ‘기술개발 등 공공 R&D(연구개발) 투자 확대’(9.3%), ‘세제 지원 확대’(7.9%), ‘규제 완화’(7.9%) ‘인프라 투자 확대’(5.8%) 등을 들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유로존 재정 위기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데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내수 경기가 둔화되면서 지방경제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지방기업의 투자 의욕이 꺾이지 않도록 유가 상승 부담 완화, 신용대출 확대, 지역 특화산업 발굴·육성 등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더욱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