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사각지대 확대 설비 관리 시급
서울·부산·세종 등 대도시 이행률과 대조
정기검사 못받은 설비 ‘화재·고장 악순환’
데이터 기반한 상시 점검체계 마련 시급
박정 의원, 전기안전공사 國監자료 분석

【SJB세종TV=박남주 기자】 최근 3년 간 태양광 설비의 정기검사 이행률이 낮아지면서 전기적 원인에 의한 화재 비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 민주당 박정 의원(경기, 파주시乙)의 한국전기안전공사 국감자료 분석결과 올들어 1355개의 발전시설이 제때 정기검진을 받지 못해 설치 설비가 증가한데 반해 정기검사 이행 속도는 이를 따라잡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북(92.4%), 전남(95.9%), 제주(95.5%) 등 농어촌 및 도서 지역에서 미이행률이 높은 반면 서울·부산·세종 등 대도시권이 98~100% 의 이행률을 유지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와 함께 태양광 설비의 화재 중 전기적 요인에 의한 비율은 같은 기간 72.7% 에서 87.4% 로 급등해 2022년 99 건 중 72 건이 전기화재였던 것이, 올해 9월 현재 103건 중 90건이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로 확인됐다.
화재 원인으론 미확인 단락(32건), 트래킹 단락(21건 ), 절연열화 단락(14건), 과부하(11건) 등이 대부분으로, 모두 정기검사를 통해 사전 발견·예방이 가능함에도 검사 미이행이 누적돼 전기적 사고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정기검사 이행률 하락과 전기적 화재 증가가 같은 시기 동시에 발생한 것은 정기검사를 제대로 받지 않은 설비가 화재나 고장 위험을 키우는 구조적 악순환이 원인인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박 의원은 “향후 재생에너지의 대대적 확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기점검 시스템에 차질이 없을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특히 농촌과 도서 지역의 관리 사각지대가 드러나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그는 “정기검사 주기 단축과 현장인력 확충, 전력거래소·한전과의 발전량 데이터 연계 등 데이터 기반의 상시 점검체계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