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도로와 도시 개발 등으로 단절된 산림과 연안, 하천, 습지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생태네트워크 관리·복원 방안을 마련했다.
도는 3일 2층 대회의실에서 구본충 도 행정부지사와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내 생태 단절 구간에 대한 연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충남도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충남발전연구원은 2007년 1차와 2008년 2차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도내 중요 단절구간을 선정하고, 주변 생태 특성을 반영한 개별적 연결방안과 사업을 제시했다.
산림 분야는 핵심·완충구역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 마련과 전이지역에 대한 제한적 토지이용 유도 등을 관리방안으로 내놨다.
산림 야생동물 교통사고(로드킬)를 줄이기 위해선 기존 생태통로 이용 현황을 살피고 생태통로 위치와 유형, 규격 등 문제점을 파악해 유지 또는 활용 방안 등을 제시했다.
연안은 서해안 갯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호구역 설정, 갯벌 휴식년제와 갯벌생태관리사제도 등의 도입이 복원 방안으로 도출됐다.
하천은 아산 곡교천의 경우 인공구조물 제거와 녹지·강변습지 조성이, 예산 무한천은 자연형 어도 설치를 통한 어류 생태계 연결과 하수처리시설 신설 및 확장 등이 생태네트워크 복원 방안으로 제출됐다.
내륙습지는 공주 계룡저수지와 부여 복금리저수지 등 11개 습지를 생태공원과 생태학습원으로 조성하고, 각 습지에 대한 휴식공간 제공, 유량 유지, 밀렵 방지, 먹이활동 공간 제공, 폐 그물 제거 등이 관리·복원 방안으로 제시됐다.
도 관계자는 “광역생태네트워크는 독립된 ‘섬’으로 관리해 오던 중요 산림과 연안, 하천, 습지 등의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방안으로, 모든 자연환경을 하나의 연결체계로 인식해 도출한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고속도로와 국도, 철도 등으로 절단·훼손된 생태네크워크 복원에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반영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