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가 18년만에 신청사를 개청했지만 직원 식당이 마련되지 않아 노조가 반발하는 등 집단 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일 광주남구노동조합에 따르면 남구가 봉선동 청사 시대를 18년만에 마감하고 지난 8일 주월동에서 신청사 개청식을 열었다.
하지만 남구청은 600여 명의 직원이 이용하는 구내식당을 설치하지 않은 채 문을 열어 직원들은 점심시간이면 청사 밖으로 나가 식사를 해결하고 있는 처지다.
이에 따라 남구노조는 지난 9일부터 오전 출근시간과 점심시간에 1인 시위를 전개하고 있고 위원장과 사무국장은 점심 금식 투쟁에 돌입했다.
남구노조는 직원식당 운영을 상조회나 노조에 떠맡기는 것은 무책임한 자세이고 최영호 구청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봉선동 청사에는 구내식당이 마련돼 있어 직원들이 점심식사를 3000원에 해결했지만 지금은 두 배가 넘는 지출을 감수해야 한다"며 "상조회에서 직원식당을 운영하는 것은 구청장이 져야할 책임을 상조회가 대신 맡은 것뿐이고 복지포인트 인상을 직원식당 포기의 협상카드로 제시하는 것은 맞지 않는 처사다"고 밝혔다.
또 "남구청 측은 초과근무수당은 근무시간외 근무에 대한 정당한 대가로 당연히 지급돼야할 부분인데 '초과근무수당을 상향 조정하겠다'는 걸 직원식당과 연계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직원식당은 공무원들만 이용하는 시설이 아니고 무기계약근로자, 기간제근로자, 자활근로자, 공익근무요원 등 남구청에서 근무하는 많은 직원들이 이용하게 될 곳이다"며 "정규직 공무원들만 따로 복지포인트 등으로 식비를 보전하는 방법은 올바르지 않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직원식당 설치 여부에 대한 투표도 임대료, 관리비, 식재료, 인건비 등의 원가를 산정해서 식비를 결정할 경우 일반식당과 비슷하게 산출될 것이다"며 "복지의 기본인 직원식당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집단 행동에 돌입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남구는 "5월1일 정례조회 때 직원 투표를 실시해 구내식당 설치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며 "현재 직원 부담을 줄이기 위해 4000∼5000원의 가격으로 중식 제공과 3200원∼4000원의 도시락 배달이 가능한 업소를 물색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청사에 직원식당이 설치될 경우 식당 입주 희망자가 없을 것으로 판단해 임대권자인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반대하고 있다"며 "직원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다각도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옛 메가트로 건물을 리모델링해 지어진 남구 신청사는 지하 6층, 지상 9층 규모로 지하 6층∼지하 2층은 주차장, 지상 6∼9층은 청사 각 부서로 사용되고 있다.
지하 1층∼지상 4층은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임대하는 상가로 활용될 예정이지만 은행, 편의점, 분식점 등 3곳만 입점이 확정됐고 나머지는 비어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