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시내버스 불편에 대한 민원 건수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시는 5일 "지난말까지 버스관련 민원은 1,23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93건과 비교해 31%가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시민모니터단이 출범한 2008년 이래 최저치다.
시내버스 서비스 질 체감도 조사 결과를 보면 2016년해에 비해 ▲‘더 좋아졌다’가 75% ▲‘별 차이없다’가 25% 로 나타났다.
서비스 향상 항목으로 ▲ 운수종사자의 친절도가 32% ▲ 버스운행실태(안전운전)가 24% ▲ 버스안내체계(시내버스 디자인, 외부 LED 번호판 등)가 17%로 그 뒤를 이었다.
운수종사자의 운행실태 개선 필요항목으로는 급정거·급출발이 29%를 차지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됐고 자가차량의 증가에 따른 교통체증, 불법 주정차로 인한 저속운행이 21%로 나타났다.
또 운수종사자의 운행태도에 대해‘개선할 것 없음’도 15%를 차지해 친절하고 안전 운행하는 운수종사자가 꾸준히 늘고 있음을 보여줬다.
운행관련 개선으로는 버스의 불규칙한 운행간격 18%, 버스운행시간 짧음(심야미운행) 16%, 버스전용차로 내 불법 주정차 12% 순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번 운영 자료를 토대로, 올해 부진한 시내버스 서비스 항목에 대해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에 반영하여 버스업체로 하여금 자구 개선토록 할 계획이다.
특히 버스탑재형 단속시스템(EEB Ⅱ) 60대를 노선별 4~5대 설치, 2020년까지 총 150대의 시내버스에 장착하여 시내버스 정시성 저해요인인 불법주정차를 획기적으로 단속할 방침이다.
대전시 전영춘 버스정책과장은“2008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0년째에 접어드는 시내버스 시민모니터단은 버스업체가 자율적으로 개선을 시도하게 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올리고 있다”며“시민이 체감하는 최상의 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금년도 계획된 사업 추진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에는 206명의 시민모니터단이 67개 노선에 대해 총13,813회의 평가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