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가 정부의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재창조되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다.
대전시에 따르면 미래조과학부(이하 미래부)에서 지난 8일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을 포함한 대덕특구를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재창조하기 위해, 엑스포과학공원 내 기초과학연구원과 과학체험 및 전시공간 등 창조경제 핵심시설을 집적 조성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전시는 미래부의 제안이 대전시의 이익과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최우선 판단 기준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시민 의견 수렴 후 수용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9일 발표했다.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과학벨트, 엑스포재창조 등 지역 최대 현안에 대한 미래부의 공식적인 입장이 대전시에 전달됐다.
이날 미래부는 엑스포과학공원을 포함한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재창조하기 위해 엑스포공원 내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과 과학체험 및 전시공간 등 창조경제의 핵심시설을 집적시키고 이를 지역 주민과 함께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대전시에 공식 제안했다.
이같은 미래부의 제안은 미래부가 국정의 핵심과제인 ‘창조경제’ 조기 실현을 위해 그동안 대전시가 제시한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전략을 적극 수용하고 국가 차원에서 지난 20년간 중앙정부의 무관심 등으로 사실상 방치된 엑스포과학공원과 난항을 겪고 있는 과학벨트 등 지역 현안을 동시에 해결하고 정상추진 하겠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래부의 공식 제안에 대해 대전시는 매우 신중한 입장이다. 대전시는 “과학벨트와 엑스포재창조는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이라는 큰 틀에서 상호 연계를 통해 해결될 수밖에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 이라며
“미래부 제안에 대한 수용 여부는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벨트, 엑스포재창조 등의 문제 해결과 향후 미래 대전시의 이익과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최우선 기준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과학벨트 기본계획 상의 신동·둔곡지구 전체 면적 유지 및 부지 매입비 전액 국고부담 여부, 국책사업으로 추진될 창조경제 핵심시설의 규모와 기능, 대전시가 공식 건의 예정인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방안에 대한 미래부 수용 여부 등도 추가적으로 고려해 최종적으로는 시의회 의견청취, 과학기술계와의 정책간담회, 시민단체 간담회 등 의견 수렴 절차를 통해 다양한 시민의 의견을 반영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세웠다.
한선희 대전시 과학문화산업본부장은 “이번 미래부 제안은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조성 방안과 과학벨트, 엑스포재창조를 종합적으로 연계한 사안으로 보여진다”면서 “이 세 가지 사안은 미래 대전의 발전을 결정할 지역 최대의 현안인 만큼 우리시가 처한 현실과 시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혜로운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이 미래 대전시의 이익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지를 기준으로 시민의사를 종합적으로 수렴하여 미래부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