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및 도교육청 뾰족한 대책 못내 놔 ... 행정사무감사 통해 원인·대책 마련 기대
충남도 내 먹는 물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 가고 있으나 도와 도교육청이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도민 건강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11일 충남도보건환경연구원이 충남도의회 조치연 의원 및 유익환 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9월 말 현재 도민 또는 시장·군수로부터 2611건의 먹는 물 검사를 요청 받고 검사를 실시했으며 이중 23.40%인 611건이 부적합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수도는 428건 검사에 6건(1.40%), 마을상수도는 473건에 105건(24.07%), 지하수는 1118건에 329건(29.43%), 학교지하수는 461건에 161건(34.92%), 먹는샘물은 167건에 10건(5.99%)이 각각 부적합했다.
이는 2011년 검사 5385건에 1012건(18.79%) 부적, 2012년 5863건에 1438건(24.53%) 보다는 의뢰 건 수가 줄어들어 물에 대한 도민의 신뢰는 높아진 것으로 보이나 부적 판정이 여전히 많이 나타나 먹는 물에 대한 도의 정책이 제 구실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내 학생들이 먹는 물로 사용하고 있는 학교지하수의 경우, 2011년에는 769건 검사 의뢰해 이 중에 106건(14%)에 머무른 반면 2012년 768건의 검사의뢰에 242건(31%), 2013년 3/4분기까지 461건의 검사의뢰에 161건(34,92%)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심각성을 드러냈다.
또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여 금산군이 84.61%(의뢰 13건, 부적합 11건)로 가장 오염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서천군 83.33%(18건, 15건), 보령시 72.22%(18건, 13건), 태안군 62.86%(35건, 22건), 홍성군 52%(25건, 13건), 부여군 50%(6건, 3건), 청양군 37.5%(32건, 12건), 예산군 37.5%(8건, 3건), 서산시 30.30%(33건, 10건), 당진시 26.31%(95건, 25건), 공주시 12.22%(90건, 11건) 순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환경보전을 위한 대응능력 한계와 상수도 분야 광특예산 축소로 농촌지역 상수도 보급에 애로가 많다”면서 “도는 역제안 과제발굴을 통해 정부시책화를 이루어 쾌적하고 안전한 물 환경 조성을 위한 물 복지 실현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도의회 유익환 의원(새누리당, 태안)은 “이 조사결과를 보면 도내 먹는 물이 심각히 오염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도 충남도의 먹는 물 정책이 부재해 도민의 건강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면서 “이번 행감에서 상수원 오염 원인과 대책을 철저히 따져 묻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올해 오염된 지표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상수도 시설의 지속적 확충으로 도민에게 깨끗한 물 공급키 위해 지하수 방치공 407개소를 원상복구 했고, 9개소의 지하수 오염 유발지역에 보조 관측망을 설치해 지하수 오염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또 22지구에 466억원을 투입해 농어촌 지방상수도 추진하는 한편에 142억원을 투입해 마을 및 소규모 급수시설 158개소에 대해 개량사업을 추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