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TV = 김은지 기자]
공주시가 지난 20일 첫 번째 다문화가족 정책 토론회를 열었지만 한국어가 서툰 결혼이주여성들의 배려가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이날 다문화가족 정책 토론회는 참여 대상의 주가 외국인 여성으로 한국말이 서투르고 글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어 통역이나 외국어 표기안내책자가 필요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베트남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A씨는 “한국(정착한지)에 2년 됐다. 오늘(지난 20일)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잘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 한 뒤, 소통의 어려움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여성가족과 관계자는 “한국어를 조금은 하거나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 또는 가족과 함께 올 것으로 예상했기에 그런 것까지(외국어안내) 미처 준비 하지 못했으며 배려가 부족했다”고 답변했다.
또한 여성다문화팀 관계자는 “한국에 온지 얼마 안 된 초짜(이주여성)들은 한국어가 부족하기에 이런 자리에 못 온다. 못 알아들으니까 오지않는다. 이런 분들은 초청된 읍면동 임원들이 이끌어 교육하게 되어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에서 주관해 마련된 시민 토론회임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 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읍면동 임원들에게 이주여성들의 교육을 맡기고 있어 떠넘기기 식의 정책이라는 비판이다.
특히 참석자 200여 명 중 한국어가 능통한 읍면동 임원 80여 명뿐만 아니라 일반 이주여성도 함께 참석한 가운데 일부 시민들의 배려가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김정섭 시장은 ‘다문화가족이 행복하면 공주시 전체가 행복하다’를 강조한 만큼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이주여성들의 배려도 개선될 수 있을지 앞으로 다문화 정책의 귀추가 주목된다.
공주시가 지난 2017년 2월 20일부터 3월 31일까지 40일간 실태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관내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은 총 653가구로 조사됐지만 통계청(2017년 11월)자료에선 총 863가구로 200가구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공주시는 정책 대상에서 누락되어 있는 210가구에 대한 다문화가족의 구성현황, 한국어 수준, 국가별 현황 등을 오는 5월 말까지 전수조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