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TV = 김은지 기자]
공주시 토론회 참석자들이 “보고회인지 토론회인지 분간이 안간다, 시민의견 반영 될 수 없는 자리다"고 일침을 가했다.
공주시가 2일 '정책톡톡' 공주도시재생 뉴딜사업 시민토론회를 개최했지만 현장에 참석한 시민들은 ‘소통’아닌 ‘불통’이라며 어차피 시민의견은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며 불신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진행된 다섯 번째 '정책톡톡 시민 토론회'는 시민들의 이런 불만 등으로 끝까지 자리하지 못하고 중간에 퇴장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토론회 참석자 시민 A씨는 “공주는 항상 그래요. 중학동 공청회때와 똑같다. 이런 곳에서는 소통이 될 수 없다”며 “관련된 사람들만 하는 뻔한 얘기, 시민들의 의견은 반영될 수 없는 자리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날 상생협약식에 참석한 시민 B씨는 다음 토론회 참석 의향과 관련된 질문에 “다음부터는 이런 짜여져 있는 방식의 토론회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답변했다.
끝까지 토론회 자리를 지켰던 시민 C씨도 "구체적인 내용도 없고 이런 자리는 구색 맞추는 가식적인 자리다"며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현장 토론회에 참석한 시 공무원 조차도 “이게 무슨 도시재생 뉴딜사업(토론회)인가. 시 관계자 빼면 시민이 50명도 안 된다”고 시인했다.
이어 “토론회 홍보 과정부터 잘못됐다”며 “읍면동사무소에 홍보전단지, 현수막뿐인 홍보가 전부다”며 시민들의 낮은 참여률의 이유로 연관 지었다.
공주시는 지난달 30일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도를 통한 추진방향에 대한 설명에 이어 자유토론 순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 토론에서 제시된 의견은 검토 후 중학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힌바 있어 당일 현장과는 상당히 상반된 토론회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날 토론회는 김정섭 공주시장을 비롯해 이창선 부의장, 상생협약식 관계자와 시민 등 80여 명이 참석했으며 개회 및 인사, 사업설명, 신바람 상생협약식, 시민토론 순으로 3시간 동안 진행됐다.
한편 그동안 공주시는 관광활성화, 다문화정책 토론회 등 시민과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잇따르는 가운데 앞으로 본래 취지에 맞는 시민 토론회를 계속해 이어나갈 수 있을지 행보가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