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원자력연료의 기강해이가 도를 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천안을)에 따르면 한전원자력연료는 최근 5년간 정직 4명, 감봉 7명, 견책 9명 등 20명이 징계를 받았는데 그 내용이 일반인의 상식을 뛰어 넘고 있다.
박 의원은 "감사보고서를 살펴보니 지난해 7월 한전원자력연료 직원 2명은 엔지니어링동 신축공사에 참여한 감리와 건설업체 직원들에게 폭언과 협박으로 공사를 지연시켰다가 정직 4개월과 견책의 징계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이들의 ‘갑’ 질은 부당한 협박을 견디다 못한 협력업체 직원의 개선요구로 드러났다"며 "공사감독도 아닌 A과장은 후배직원을 시켜 고의로 공정을 지연시켜 시공사를 골탕 먹이려 했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이어 "A과장은 술에 취해 감리단장에게 '시공사는 좀 혼나야 한다. 책대로 하고 준공일자를 되도록 늦추면 늦출수록 나는 좋다. 실장 부장은 조만간에 회사를 떠나니 줄을 잘 서라'라며 욕설을 퍼부은 것으로 감사결과 밝혀졌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다른 원자력연료 시설직원 B차장은 아예 감리단장을 사무실로 불러 '시공사는 뜨거운 맛을 봐야한다. 나에게 잘 보일 생각은 않고 실장,부장에게 얘기해서 문제를 풀려하느냐. 우리들이 오래 있을 사람들인데...'라는 등 협박을 일삼았다"고 설명했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직원들이 골프를 치기 위해 상습적으로 근무지를 무단이탈했지만 감사원에 적발되기 전까지 원자력연료는 이 같은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직원 C씨와 D씨는 18차례와 6차례씩 근무지를 무단 이탈해 골프 등을 즐기다 감사원 특별조사국에 적발됐고, 자체감사에서도 같은 부서의 직원 2명이 5~6회씩 근무지를 이탈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특히 근무지를 무단이탈한 직원들의 징계는 정직 3개월, 감봉 3개월, 견책이 고작인데다 적발된 후 10개월이 지나서야 징계가 결정돼 솜방망이 처벌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이밖에 회식자리에서 여직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만지거나 불량 핵연료봉 생산, 부서내 폭력행위 등이 발생해 근태관리에 허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은 “원전비리가 만연한 상황에서 원전공기업의 ‘갑’질은 단순한 불공정행위를 넘어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낳을 수 있다” 며 관리감독기관의 철저한 후속대책을 주문했다.